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르포]LG전자 평택 칠러 공장, 규모 2배 늘고 용접 로봇 도입 '경쟁력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LG전자 칠러공장


냉난방 사업 수직계열화 이뤄내···용접 로봇으로 1등 브랜드 다짐

【서울=뉴시스】김지은 기자 = "소형 에어컨에서부터 대형 칠러에 이르는 냉난방 사업의 수직계열화를 갖추게 됐고, 지난해 칠러 사업 매출 3500억을 달성하면서 성장 동력을 지속시키고 있습니다"

27일 방문한 경기도 평택시의 LG전자 칠러 공장. 주로 대형 상가, 오피스 시설, 발전소 등에 들어가는 냉난방기 제품을 생산하는 곳이다. 주요 생산 품목은 터보 냉동기, 흡수식 냉온수기, 스크류 냉동기, 공조기 등이다. LG전자는 이곳에서 생산하는 제품을 국내시장은 물론 글로벌 주요 시장에 공급한다.

LG전자는 사업 규모를 확대하고 연구개발을 강화하기 위해 전북 전주에 있었던 칠러 공장을 지난 해 11월 현재 위치인 평택으로 옮겼다. 14만8000㎡에 달하는 대지 위에 들어선 사업장은 전주에 있던 공장에 비해 약 2.5배 넓다.

LG전자 관계자는 "규모가 커진 신공장은 제품의 설계부터 제작, 테스트, 출하에 이르는 전 공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지리적으로는 인근에 평택항이 위치하고 있어 수출 물량을 항구까지 운송하는 데도 강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평택공장의 연간 최대 생산량은 냉동기 기준으로 1000 대 수준이다. 냉동기에 연결되는 실내기 등 부속 제품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2000 대까지 늘어난다. LG전자는 평택공장의 생산능력이 기존 전주공장에 비해 2배 이상으로 늘어난 덕분에 대형 프로젝트의 수주도 적기에 대응할 수 있게 됐다.

생산동에 들어서면 가전회사의 생산라인에서는 보기 어려운 장면들이 눈에 들어온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널따란 생산현장에 들어선 대형 크레인들이다.

생산동은 총 면적이 축구장 4개 넓이와 비슷하며 5개의 생산 구역으로 구분돼 있다. 각 구역은 가로, 세로가 각각 190m, 30m에 달한다. 각 생산 구역의 위쪽에는 최대 50톤까지 들어올릴 수 있는 대형 크레인이 설치됐다. 칠러는 완제품의 무게가 최대 50톤에 달하는 제품으로 크레인을 사용해야만 옮길 수 있다.

LG전자는 용접 로봇도 생산현장에 도입했다. 칠러는 100% 주문제작 방식이고 제품에 따라 용접 위치가 달라 공정 자동화가 쉽지 않은 제품이다.

따라서 제조 공정의 핵심인 용접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평택에 있는 LG전자 생산기술원과 협력해 지난 3월 칠러 용접 로봇을 생산현장에 도입하게 됐다. 그만큼 용접 공정에 세밀한 작업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LG전자 관계자는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빛과 열 때문에 작업자가 피로를 느낄 수 있었던 부분을 크게 개선했다"고 덧붙였다.

생산현장은 여러 공정들이 하나의 라인(Line)에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 방식이 아니라 숙련된 작업자들이 제품 하나에 대한 전체 공정을 책임지는 셀(Cell) 생산방식이다.

칠러 생산은 고객이 원하는 사양에 맞춰 설계부터 생산, 검사, 시운전이 이뤄지는 점과, 제품의 크기, 생산공정 등을 감안하면 컨베이어 방식보다는 셀 방식이 적합하다.

생산현장 작업자들의 평균 근속연수도 19년에 달한다. 신입사원이 교육을 마치고 생산현장에 본격적으로 들어오려면 약 5년이 걸릴 정도다. 작업자 한 명 한 명이 모두 칠러 생산의 달인인 셈이다.

박영수 칠러 사업 담당 상무는 "영업이익도 5% 이상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며 "중동에 이어 동남아를 겨냥해 공략중인 만큼 세계 1등 브랜드로 키우겠다"고 강조했다.

whynot82@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