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19개 지역중심 국·공립대 기획처장 모임 잇따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역거점 국립대 육성책과 맞물려 대응책 논의

[대전=이한영 기자] 문재인 정부의 대학 교육정책 향방을 둘러싸고 한밭대 부경대 서울과기대 등 전국 19개 지역중심 국ㆍ공립대학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역중심 국ㆍ공립대'란 전국 28개 국ㆍ공립대 가운데 충남대 경북대 등 9개 '지역거점 국립대'를 제외한 국ㆍ공립대를 말한다.

지역중심 국ㆍ공립대 기획처장협의회(회장 류장수ㆍ부경대 기획처장)는 오는 27일(화) 오후 4시 부경대(부산 남구) 동원장보고관 3층 동원홀에서 기획처장 워크숍을 개최한다.

이번 워크숍은 지난 14일 열린 제주 워크숍에 이은 2차 회의다. 국ㆍ공립대 기획처장들이 이처럼 잇달아 모임을 가지는 건 이례적인 일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새 정부가 공약을 통해 대학정책 방향을 '지역거점 국립대 집중 육성'이라고 밝힘에 따라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지역중심 국ㆍ공립대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육성책 마련을 위한 정부 의지를 촉구하기 위한 것이다.

류장수 회장은 "우리는 새 정부가 국립대학을 '지역거점'과 '지역중심'으로 나뉘어 차등 육성하는 대학정책을 펴려는 것은 아닌지 매우 우려하고 있다."면서, "이번 워크숍에서 갈등과 소외를 심화시키는 정책이 아닌 화합과 상생, 그리고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정부정책과 대학의 노력에 대해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19개 지역중심 국ㆍ공립대학의 재적학생은 23만923명으로 지역거점 국립대(27만8천253명)와 맞먹을 정도로 규모가 크다. 특히 지역중심 국ㆍ공립대학은 전국 21개 시ㆍ군에 분포하며 지역인구도 1천995만 명으로 지역거점 국립대(17개 시ㆍ군, 1천593만 명)보다 많을 정도로 각 지역사회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높다.

한편, 이날 워크숍에는 한밭대를 비롯해 회장교인 부경대, 강릉원주대, 경남과학기술대, 공주대, 군산대, 금오공대, 목포대, 목포해양대, 서울과학기술대, 서울시립대, 순천대, 안동대, 창원대, 한경대, 한국교원대, 한국교통대, 한국체육대, 한국해양대 등 총 19개 지역중심 국ㆍ공립대 기획처장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한영 기자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