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비행기 관제탑처럼…KT, 드론 통신망 구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안전한 비행 환경 위해 2021년까지 플랫폼 마련…재난안전 분야에도 적극 활용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안하늘 기자]물류, 토목,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안전한 비행 환경을 갖추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 1kg의 드론이 상공 100m 높이에서 떨어질 경우 1t의 충격을 주게 되는데, 이로 인해 심각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이를 위해 KT는 드론과 드론, 드론과 관제탑을 연결하는 '드론 통신망' 구축에 나섰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KT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드론의 안전 운용을 위한 저고도 교통관리체계 개발 및 실증시험' 사업의 공동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 이에 오는 2021년까지 '저고도 무인항공기 교통관리 플랫폼'을 구축하게 된다. 비행기에서 운영되는 관제 시스템을 드론에도 적용하기 위한 목적이다.

현재 12㎏ 이상, 고도 150m를 넘어 운행하는 모든 유인 비행체는 정부에 신고한 뒤 허가를 받아야 비행할 수 있다. 비행 중에도 관제탑과 수시로 비행경로, 날씨, 이착륙 정보 등을 교류한다.

정부는 새로 구축하는 플랫폼을 통해 드론도 구입과 동시에 사용자와 사용 목적을 등록하고 비행 시 경로 등을 허가받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또 관제센터와 수시로 비행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드론과 드론 간 의사소통도 가능해지게 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드론은 라디오 전파를 활용해 드론 조종사와 연결된다. 드론 기술이 상업 목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수 km까지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라디오 주파수로는 한계가 있다. 이에 드론 통신 기술의 대안은 롱텀에볼루션(LTE)이다. 또한 드론이 정해진 경로로 비행하고 있는지를 관제 센터에서 확인하기 위해 GPS 기술이 고도로 발전해야 한다.

KT는 항공우주연구원과 2022년까지 초정밀 GPS 보정시스템을 개발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현재 30m 수준인 GPS 오차를 1~2m 수준으로 줄여 더 정밀한 위치정보를 제공, 안전성을 높일 뿐 아니라 연료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T는 재난안전 분야에서도 드론을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2015년 KT는 인력이나 배로 접근하기 힘든 고립지역에 통신망을 공급하기 위해 '드론 LTE'를 선보였다. 800g에 불과한 초소형 기지국과 안테나를 달고 있는 드론이 150m까지 날아올라 재난재해를 관제하고 LTE 신호를 서비스한다. 드론 5개를 동시에 띄우는 편대 비행 방식을 활용, 여의도 면적 크기의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다.

또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드론과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을 접목한 '세이프티 드론'도 활용할 계획이다. KT가 개발한 안면인식 솔루션을 통해 드론이 촬영한 실시간 영상정보를 관제센터에 전달, 사전에 등록되지 않거나 위험 행동이 포착된 대상에 대해 즉각적인 확인과 대처가 가능하다.

한재국 KT 미래융합사업추진실 차장은 "드론 택배를 하기 위해서는 드론이 비행하는 길과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먼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상공에서도 LTE, 5G 등 통신망이 촘촘하게 정비돼야 한다"고 말했다.

안하늘 기자 ahn708@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