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미세먼지, 인접 지자체 공동대응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수원)=박정규 기자]수원시가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 인접 시·군과 함께 광역단위 공동대응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수원시가 26일 수원시청에서 ‘함께해요~ 미세먼지 다이어트!’를 주제로 연 ‘수원시민의 정부 정책토론회’에서 심균섭 수원시 기후대기과장은 “경기남부권 시장군수협의회와 협력해 미세먼지에 함께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역 차원에서 미세먼지 발생원 연구해야 =‘미세먼지 대응방안’을 발표한 심 과장은 “광역 차원에서 미세먼지 발생원을 연구해 계절·지역 특성에 따른 오염원과 미세먼지 성분 분석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면서 “그에 맞는 세부 대응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세먼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합의를 해 중장기적인 미세먼지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며 “시민들에게 지속해서 정보를 제공해 미세먼지의 위험성을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 과장은 또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향후 실천과제로 수원시 미세먼지 피해예방 및 저감 지원 조례 제정, 미세먼지 저감 관련 시민 제안 창구 상시 운영, 미세먼지 발생원의 저감지원사업 추진 등을 제시했다.

이날 정책토론회는 ‘미세먼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주제로 한 김동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강연, 심균섭 과장·강은하 수원시정연구원 연구위원·김하나 한국이클레이(ICLEI)사무소 전략사업팀장·윤은상 수원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의 발표로 이어졌다.

▶수원시 미세먼지 평균 농도, 10년 동안 15.2% 감소 =김동영 연구위원은 “수원시 미세먼지(PM 10) 평균 농도는 2007년 62㎍/㎥에서 2016년 53㎍/㎥로 15.2% 감소했다”고 했다.

그는 “전반적으로 수원시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농도는 경기도 평균보다 낮지만 대기 환경기준은 초과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원시에는 234개 대기배출시설이 있고, 영세사업장이 대형사업장보다 많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위원은 또 “대도시인 수원시는 자동차 관리대책을 중심으로 미세먼지 문제에 대처해야 한다”면서 “중소배출시설, 노천 소각(생활폐기물, 농업잔재물 등)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한 강은하 수원시정연구원 연구위원은 “세계보건기구는 미세먼지를 호흡기 질환뿐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 발병 위험을 높이는 물질이라고 발표했다”면서 “미세먼지보다는 초미세먼지(PM 2.5)의 장기간 노출이 심혈관계 관련 사망률을 더 높인다”고 했다.

수원시의 연간 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2012년 46㎍/㎥, 2013년 51㎍/㎥, 2014년 50㎍/㎥, 2015년 48㎍/㎥, 2016년 53㎍/㎥이었다(환경기준 50㎍/㎥ 이하). 2016년 기준으로 월별 미세먼지 농도 추이를 보면 4월이 76㎍/㎥로 가장 높았고, 월별 미세먼지 농도는 3~5월, 11~1월에 높게 나타났다.

수원시는 지난 4월 미세먼지 대응 컨트롤타워인 ‘수원시 미세먼지 저감 비상대책본부’를 구성하고 5개 분야 12개 과제로 이뤄진 ‘수원시 미세먼지 저감 종합 대책(안)’을 마련해 시행했다.

수원시는 이날 토론회에서 나온 제안들은 미세먼지 저감 대책 수립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다.

fob140@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