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농협, "꿀벌, 2035년 사라질 수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꿀벌이 화려한 색의 천인국에서 꿀을 찾고 있는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지구 온난화와 환경오염으로 20년내 꿀벌이 지구 상에서 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5일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의 주간보고서 '해외 축산정보 17호'에 따르면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환경오염, 밀원지 감소 등으로 봉군(벌떼) 전체가 사라지는 봉군붕괴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꿀벌은 벌꿀 생산 외에도 화분 매개를 통해 사과, 귤, 복숭아 등 각종 농작물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2006년부터 봉군붕괴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꿀벌 폐사가 급증했고 2015~2016년 미국에서만 봉군이 28.1% 감소했다. 이어 캐나다(16.8%), 유럽(11.9%), 뉴질랜드 (10.7%) 등에서도 봉군 감소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한국 역시 2015년 196만3천 군이던 봉군이 지난해 175만 군으로 줄어 1년 새 10.8% 감소했다. 현 추세대로 꿀벌 감소가 가속화되면 2035년께 화분 매개에 중요한 꿀벌이 멸종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고 농협은 전했다.'

한편 꿀벌이 사라지는 원인으로는 온난화에 따른 기후 급변과 환경오염 및 인위적 농경지 개발에 따른 밀원지 감소가 주범으로 꼽힌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