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정부 '탈 원전' 정책에 주목받는 서남해안 해상풍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5기가와트 풍력발전이면 수도권 전력사용 맞먹어

박준영 의원 "고창∼진도 해상 적극 건설 필요"

뉴스1

제주 탐라해상풍력단지.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암=뉴스1) 박영래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의 탈원전 선언과 신규 원전 건설 백지화 등 원자력 의존정책 폐기로 서남해안 해상풍력발전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25일 국민의당 박준영 의원(영암·무안·신안)이 한국전력공사로부터 제공받은 '수도권(서울, 경기) 전력발전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해안 풍력발전시설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이면 수도권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해결할 수 있다.

박 의원은 "2009년 전남지사 재직 당시 '5기가와트 풍력산업 프로젝트'를 추진했다"며 "5기가와트 풍력발전시설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은 4만3800기가로 이는 2015년 수도권 전력발전량 4만5845기가와 맞먹는 수치"라고 주장했다.

5기와트 풍력산업 프로젝트는 2009년 10월 정부와 전남도가 서해안에 대형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한전, 포스코그룹, 대우조선해양 등 26개 기업이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해상풍력단지가 들어서는 해역은 영광에서 신안 비금까지 2000㎢로 이곳에 3∼5메가와트급 풍력발전기 1000여기를 2028년까지 세우는 사업으로 15조5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박 의원은 "서남해안 지역은 수심이 20m 이내, 풍속은 초속 7∼8m로 해상풍력발전을 위한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해상풍력단지 건설과 관련해 현재 전남 영광에 해상풍력 실험시설(테스트 베드)이 설립돼 많은 풍력발전 기자재들의 효율성을 시험하고 있지만 사업은 속도를 내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지금까지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이유는 해상에서 생산된 전기를 육상으로 배송하는 송전시설(송전 하이웨이)을 사업자가 건설해야 해서 초기 투자 부담이 크기 때문"이라며 "그동안 전남도와 잠재 사업자들은 정부와 한전이 송전시설을 건설하고, 고속도로 통행료처럼 송전비를 받으라고 제안해 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의 탈원전 선언과 신규 원전 건설 백지화 등 원자력 의존정책 폐기를 환영한다"며 "더욱 늘어날 신에너지 전력공급 대안으로 서남해안 지역에 해상풍력시설 건설을 적극 추진해야할 때"라고 강조했다.

앞서 박 의원은 지난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전력공급 정책 중 하나로 5기가와트 풍력프로젝트를 확대해 전북 고창에서 전남 진도에 이르는 서남해안 해상풍력발전을 제안했다.
yr2003@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