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중국, '공유경제' 활성화..과잉생산 흡수·고용 창출 기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중국의 리커창 총리가 중국 정부 차원의 공유경제 활성화 방침을 밝혔다. 사진은 지난 2015년 한국을 방문해서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를 둘러보고 있는 리커창 총리(사진 오른쪽)와 남경필 경기도지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공유경제를 새로운 경제 성장동력으로 지원한다.

22일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리커창 중국 총리는 전날 국무원 회의에서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침을 승인했다.

지침은 공유경제 플랫폼 사업자나 자원 제공업체, 공유경제 소비자들의 합법적 권리를 보호하고 이를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내용을 담았다. 중국 정부는 공유경제가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정책 집행 투명성을 제고하고, 혁신을 위한 우호적 환경을 조성하는데 목적을 뒀다.

리 총리는 “중국 경제성장에 새로운 동력으로 공유경제를 신뢰해야 한다”며 “인터넷을 활용한 공유경제가 과잉생산을 흡수하고 다양한 신사업 모델을 통해 고용을 창출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며 공유경제 가능성을 높이 평가했다.

또 리 총리는 공유경제 사업모델이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규제는 신중하게 이뤄져야 하며, 전통적 방식을 공유경제에 적용하려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중국에서 공유경제는 차량 공유에서 자전거, 농구공, 휴대전화 충전기, 우산까지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중국인터넷협회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에서의 공유경제는 향후 수년간 연간 4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공유경제 시장매출이 지난해 3조4500억위안(약 575조원)에 달해 전년대비 103%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 보고서는 지난해 공유경제 서비스를 받은 사람이 6억명에 달하며, 공유경제 플랫폼 고용인력은 585만명으로 전년대비 85만명 이상 증가했다고 전했다.

인터넷협회 보고서는 공유경제가 운송, 주택, 의료서비스, 제조업 등 다양한 부문에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제공을 통해 전통산업을 첨단화한다고 분석했다.

김명희 경제금융증권 기자 noprint@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