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수석·보좌관 회의 “받아쓰기·사전 결론·계급장 없다”
매주 월·목요일 회의 정례화…정책·안보도 함께 논의 당부
‘노타이’ 회의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청와대 여민관 3층 소회의실에서 열린 취임 후 첫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참모들과 상의를 벗은 노타이 차림으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회의는 문 대통령 주문으로 받아쓰기, 미리 결론내기, 계급장이 없는 ‘3무 회의’로 진행됐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첫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보좌관회의를 열었다. 취임 후 파격적인 소통 행보를 보여온 문 대통령은 이날도 “대통령 지시에 대해 이견을 제기하는 것은 해도 되느냐가 아니라 해야 할 의무”라며 격의없는 토론을 독려했다. 이날 회의는 받아쓰기·미리 결론내기·계급장이 없는 ‘3무(無) 회의’로 진행됐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 여민1관 3층 소회의실에서 진행된 회의 모두발언에서 “수보회의(수석비서관·보좌관회의의 줄임말)가 대통령의 지시사항을 전달하는 회의가 아니라 많은 의제들을 공유하고 논의하여 결정하는 회의체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수석보좌관 회의는 청와대의 꽃이고 청와대가 대한민국의 중심이라면 이 회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좌우할 회의”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자유로운 소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대통령이 말하면 더 많은 정보를 갖고 이야기하기 때문에 다 걸러졌을 테지, 이렇게 생각하기 쉽다”며 “잘 모르면서 황당하게 하는 이야기까지 하셔야 한다. 대통령이 정보가 많을 것이라는 선입견을 가지면 절대 안된다”고 했다. 또 “자료는 정리해서 드릴 테니 이제 받아쓰기 할 필요 없다. 논의에만 집중해달라”고도 했다. 박근혜 정부 때는 토론 없이 이를 받아적는 방식으로 진행된다는 비판이 제기된 바 있다.
임종석 비서실장이 웃으며 “대통령님 지시사항에 이견을 말씀드릴 수 있습니까”라고 묻자 “대단히 중요하다. 여기서 격의 없이 토론이 이뤄지지 않으면 다시는 그렇게 못하게 된다”며 “잘못된 방향에 대해서 한 번은 바로잡을 수 있는 최초의 계기가 여기”라고 말했다.
전병헌 정무수석이 “소수의견 (말)해도 됩니까”라고 묻자 “반대의견이 있었다는 것도 함께 나가도 좋다”며 “대통령의 참모가 아니고 국민의 참모다, 그런 생각으로 자유롭게 말씀해달라”고 말했다.
회의 시작 전 문 대통령은 직접 찻잔에 커피를 따른 뒤 여름철 공무원 복장 간소화 지침에 따른 ‘노타이’를 주제로 수석들과 잠시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첫 회의 안건은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안과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였다. 문 대통령은 일자리 추경과 관련해 “추경안 작성과 제출을 차질없이 준비해 6월 국회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말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해서는 “국민적 관심이 낮고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연결지어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차질없는 대회 개최를 위해 추진 공정, 예산 확보 등 문제를 점검하여 성공적 대회로 이끌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라”고 말했다.
청와대 내부 ‘칸막이 문화’도 없앨 것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 내부도 하다보면 칸막이들이 생겨나서 안보 관련 사안들은 안보라인 쪽에서만 논의되고, 정책 사안은 정책에서만 논의되고, 이렇게 우리 내부에서 칸막이들이 많이 쳐진다”며 “정책·안보에 관한 사안이라도 정무적 판단이 필요하다 싶은 사안들은 공유하고 논의해야 정무도 함께 일을 만들면서 추진해 나갈 수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김수현 사회수석이 ‘경제지표는 전체적으로 좋아지는 측면이 있지만 청년실업, 양극화는 안 좋아지고 있다’고 경제동향 보고를 하자 가계부채의 심각성을 강조하며 “(다음에) 가계부채를 줄일 방안에 대해 논의해서 토론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수석비서관·보좌관회의는 매주 월·목요일로 정례화했다.
이날 회의에는 임 비서실장과 장하성 정책실장, 전 정무수석, 김 사회수석, 조국 민정수석, 하승창 사회혁신수석, 조현옥 인사수석, 이정도 총무비서관 등이 참석했다.
<김한솔 기자 hansol@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 [인기 무료만화 보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