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7 (일)

스밍·총공…우리 이제 그만 하면 안 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좋아하는 아이돌 컴백하면

음원 무한반복 재생하며 ‘총공’

고액결제·밤샘 스트리밍 등에

“음원사이트 배불리는 노동 왜…”

팬덤 내부 자조의 목소리도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 아이돌 그룹 ㄱ이 컴백하는 날. 음원 공개 한 시간 전인 오후 5시에 포털 사이트에서 라이브 방송을 한다는 공지가 떴다. 팬클럽이 바빠졌다. ㄱ을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 올려야 하기 때문이다. 팬클럽 홈페이지와 사회관계망서비스 등에 ㄱ의 이름을 해시태그로 단 게시물을 올리라는 ‘지령’이 내려졌다. 같은 단어로 검색해야 순위가 올라가기 때문에, 해시태그는 팬클럽에서 공지한 그대로 달아야 한다. 국외 팬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영어 공지문에는, 한글로 된 해시태그를 그대로 복사해 붙여 올려달라는 당부도 적혀 있었다.

#2. 또 다른 아이돌 그룹 ㄴ의 팬클럽에선 이들이 컴백하는 날을 앞두고 ‘탈재’ 지원 공지가 올라왔다. 탈재란, 이미 가입한 음원 사이트를 탈퇴한 뒤 재가입한다는 뜻이다. 음원 다운로드 비율이 ‘순위 결정’에 큰 영향을 주는 사이트에서 주로 벌어지는 일로, 탈재를 반복하면서 같은 노래를 여러 차례 내려받으면 다운로드 숫자가 올라간다. 탈재엔 ‘헌금 팬’과 ‘실행 팬’이 임무를 나눠 맡는다. 시간이 없는 팬들은 계좌에 입금하고, 다른 팬들은 그 돈을 받아 ‘전투’에 나서게 된다. 팬클럽 지휘부는 음원 발매를 앞두고 아이디도 수집한다.


한겨레

5분 단위로도 실시간 순위를 알 수 있는 멜론차트. 화면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이돌 그룹 팬들은 이런 활동을 ‘총공’이라 부른다. ‘총공격’의 줄임말로, 좋아하는 그룹을 응원하려고 팬들이 ‘총력전’을 벌인다는 뜻이다. ‘일부 극성맞은’이라는 수식어를 붙일 수 없을 만큼, 아이돌이 컴백하면 거의 모든 팬클럽에서 총공을 편다. 22일 아이콘과 세븐틴이 동시에 컴백했을 때도 총공이 있었다. 아이돌의 ‘컴백’은, 팬들에겐 ‘총공’의 다른 말이다.

‘총공 행동강령’에는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한 해시태그 확산 △포털 사이트 검색어 띄우기 △유튜브 비디오 ‘좋아요’ 누르기 등이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건 음원 사이트에서의 ‘스밍’(스트리밍)과 다운로드다. 가수 알리기도, 앨범의 성공도, 콘서트 흥행도 스트리밍 순위에서 시작되기 때문이다. 음원이 공개되면 팬들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시에 다운로드를 받고, 다운로드 선물하기도 신속하게 누른다. 음원 사이트별로 순위를 매기는 데 비중이 높은 서비스를 각각 다르게 공략하는 건 기본이다. 가수들끼리 친하면, 음원 발표 시기가 다를 경우 팬클럽끼리 ‘스밍’과 다운로드를 상부상조하기도 한다. 이런 ‘총공’은 팬들이 사랑을 표현하는 방법이지만 한국 사회의 특수한 ‘순위 집착’ 문화가 팬덤 문화에 확산된 사례이기도 하다.

한겨레

스밍 인증 애플리케이션 ‘스밍찍’. 화면 갈무리


팬들의 ‘총공’에 음원 사이트도 방어 전략을 내놓는다. 음원 순위가 팬들 때문에 왜곡되는 것을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같은 음원을 반복재생해 순위를 높이는 걸 막으려고 한 시간에 하나만 반영한다거나, 학생 팬들의 활동이 왕성한 자정에 발표한 음원은 다음날 오후 1시의 실시간 차트에 반영하는 식이다. 하지만 공격을 앞지르는 방어는 없는 법. 팬들은 여러 곡을 모아 1시간에 이르는 재생목록을 만들어 연속재생하거나, 낮 시간에 스트리밍을 받을 수 있도록 해둔 뒤 수업에 들어가는 ‘틈새 전술’을 찾아냈다. 한 음원 사이트의 기술진은 “집단 스트리밍(음원 사이트를 동시에 가동하는 것) 등 팬들이 음원 순위를 올리려고 쓰는 여러 가지 패턴을 파악해 집계에 반영한다. 하지만 어떤 패턴인지가 알려지면 또 다른 패턴이 생겨나기 때문에 내용은 공개할 수 없다”고 했다.

음원 사이트가 방어만 하는 건 아니다. 아이돌의 ‘컴백’이 팬들에게 ‘총공’을 뜻한다면, 팬들의 ‘총공’은 음원 사이트에 ‘돈’이기도 하다. 팬들은 다운로드와 스트리밍을 결합한, 상대적으로 저렴한 상품 대신 이 둘을 따로 구입하는 ‘고액 지불 고객’이다. 국내 최대 음원 사이트인 멜론이 순위 변화를 5분 단위로 보여주는 ‘5분 차트’를 운용하고, 엠넷이 스트리밍 동시 청취자 수를 실시간으로 공개하는 건 곧 ‘총공’을 응원하고 독려하는 일이나 다름없다.

한겨레

스트리밍 동시 청취자 수를 실시간으로 공개하는 엠넷차트. 화면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밍 피로도’를 호소하는 팬도 생겨나고 있다. 지난달 초 한 포털 사이트에 올라온 ‘나는 아이돌 팬들 스밍 문화가 사라졌으면 함’이라는 글은 조회수가 4만에 가까웠고 댓글도 240여개가 붙었다. “스밍 끊기지 않는지 수시로 확인해야 된다. 한달간 다른 노래 듣고 싶어도 듣지 못한다”고 불만을 드러내거나 “음악방송, 연말시상식도 없어져야 한다”는 제안이 댓글로 달렸다. “아이돌 팬이 제일 만만하다”는 자조도 쏟아냈다. 한 아이돌 그룹의 팬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음원 사이트만 배불리는 피곤한 노동을 왜 하는지 모르겠다. 다양한 팬덤이 손잡고 스트리밍을 보이콧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팬들의 당당한 ‘#스밍_안해’는 나올 수 있을까.

*팬들의 ‘스밍’과 ‘총공’ 피해 사례와 해결 방법 제안을 받습니다.

구둘래 기자 anyone@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주주신청]
[▶ 페이스북] [카카오톡] [위코노미] [정치BAR]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