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정부가 중소기업 육성에 투입하는 예산은 16조 600억원이다. 지난해보다 0.7% 늘어난 규모로 총 1347개 중소기업이 대상이다. 성장 가능성이 큰 중소기업을 위한 신성장기반자금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업 기업자금 등 융자 예산도 8조 5000억원이나 구성돼 있다. 이는 중소기업 육성 예산의 절반 수준에 해당한다. 소상공인 지원도 1조 5000억원, 창업기업자금도 1조 7000억원으로 늘어 제반 여건이 열악한 중소기업에 단비가 될 전망이다. 여기에다 중소기업청이 부로 경우 승격될 중소기업 시대를 알리는 신호탄을 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부가 놓쳐서는 안될 부분이 있다. 바로 중소기업의 회생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최근 9071개의 중소기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3년 연속 영업이익이 이자 비용에도 못 미친 ‘한계기업’ 비중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2012년(5.7%)까지 5%대를 유지했지만 2013년(7%)부터 급상승해 2014년 8.4%, 2015년 9.2%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한계기업이 10%를 넘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소기업 10개 중 1곳은 빌린 돈의 이자도 갚지 못하고 허덕이고 있다는 얘기다.
이에 대한 구원투수 역할을 하기 위해 전(前) 정부에서 신기업구조조정이라는 방안을 내놓았다. 기존 채권단 위주에서 사모투자펀드(PEF) 등 민간 위주로 구조조정의 주체를 바꾸고 그 마중물로 8조원에 달하는 펀드를 조성해 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정권 교체로 금융정책의 수장인 금융위원장의 재선정 작업이 진행되면서 주춤한 상태다. 일각에서는 신임 금융위원장의 성향에 따라 원점에서 재검토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물론 더 좋은 방안이 있다면 재검토하는 게 마땅하다. 그러나 마땅한 대안이 없다면 발빠른 진행이 요구된다.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