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적폐 청산… 기억하라! 촛불의 명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첫 대통령 탄핵 이끈 ‘역사’ 백서 제작… 내년 10월 공개
서울신문

‘박근혜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 관계자들이 2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해산 선언 및 촛불 대개혁 호소’ 기자회견을 마친 뒤 손을 맞잡고 만세를 부르고 있다.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민들의 힘으로 부패한 권력이 무너지고, 촛불 민심으로 새로운 정부가 출범한 것이 자랑스럽습니다.”

박근혜 정권의 퇴진을 요구하며 23차례 촛불집회를 뒷받침한 ‘박근혜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이 24일 공식 해산했다. 약 1700만명(주최 측 주장)이 참석하며 헌정 사상 최초로 대통령 탄핵을 이끈 촛불집회는 국민주권의 힘을 보여 준 역사적 사건이었다. 반면 촛불집회와 태극기집회가 대립함으로써 ‘사회통합’이 시대의 과제라는 명제도 남겼다.
서울신문

이날 퇴진행동 관계자 40여명은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해산식을 겸한 기자회견을 열고 “늦가을에 시작해 매서운 한파를 뚫고 새봄이 올 때까지 촛불을 꺼뜨리지 않은 시민들이야말로 위대한 촛불항쟁의 주인공”이라고 말했다. 최종진 퇴진행동 공동대표는 “광장 자체가 민주주의 학습의 장이었고 해학으로 어우러진 축제장이었다”며 “모두가 투쟁을 포기하지 않고 싸운 것이 응축돼 역사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촛불은 끝이 아니라 다시 시작”이라며 “앞으로 적폐 청산과 촛불 대개혁 등 촛불의 명령과 남은 과제를 실현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이들은 해산 이후 기록기념위원회를 구성해 그간 촛불집회가 걸어온 길을 백서로 제작하고, 촛불집회 2주년인 내년 10월 29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퇴진행동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참여연대, 4·16연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등 200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여 지난해 가을 출범했다. 이들은 지난 4월 29일 마지막으로 개최한 23차 집회까지 1684만 8000명의 시민이 참여했다고 추산했다. 지난 3월 10일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까지 1588만 2000명이 거리로 나왔다. 가장 많은 인원이 참석한 집회는 지난해 12월 3일 6차 집회로 232만 1000명이 참가했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안 가결 직전 집회다.

후원금은 약 39억 8000만원으로 집계됐고 이 가운데 약 32억 1000만원을 썼다고 전했다. 잔액 약 7억 7000만원은 백서사업 및 미디어기록사업, 오는 11월 열리는 ‘촛불 1년 문화제’, 촛불행진 가처분 신청 관련 변호사 비용 등으로 쓰일 예정이다.

이날 퇴진행동 측은 기자회견 후 ‘박근혜 정권을 퇴진시킨 촛불항쟁 만세’를 외치고 국민을 향해 두 차례 인사한 뒤 세월호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노래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다’를 제창했다.

전문가들은 촛불집회가 지속적으로 사회의 문제를 감시하고 견제하는 동력이 되기를 기원했다. 박래군 퇴진행동 공동대표는 “30년 전 6월항쟁 이후 (민주화를) 다시 정치권에만 맡겨 뒀던 우를 범하지 말고 더 민주적인 세상을 만들고 적폐 청산·사회개혁을 이루기 위해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홍국 경기대 국제정치학과 겸임교수는 “촛불의 성과는 우리나라 민주주의가 권력에 의존하거나 권력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국민에게 있음을 보여 줬다는 데 있다”며 “검찰개혁, 경제민주화, 노동환경 개선 등 사회의 현안에 대해 국민이 감시·견제하는 역할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강원택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는 “문화와 정치적 저항을 결합해 평화적인 집회를 만들어 나간 점이 인상적”이라며 “이제는 집회 형식이 아니라 시민들이 직접 정치에 참여하는 시스템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