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매물로 나온 칸서스자산운용 국내외 부동산 업체들 '군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싱가포르계 ARA 신원종합개발 등 참여


최근 재매각이 진행중인 칸서스자산운용 인수전에 국내외 부동산 큰 손들이 출사표를 던졌다.

2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싱가포르계 부동산 큰 손인 ARA(에이알에이)와 '좋은아침' 아파트 브랜드로 알려진 중견건설업체 신원종합개발이 칸서스자산운용 인수를 위해 매각 주관사인 딜로이트안진을 통해 인수의향서(LOI)를 접수 한 것으로 확인됐다.

딜로이트안진은 최근 원매자들을 대상으로 인수의향서(LOI)를 접수받고 지난 주부터 데이터룸을 개방했다. 이번 매각 거래 구조는 신규 유상증자를 통한 거래가 기본이며, 원매자들이 기존 주주들이 지닌 구주(보통주)를 인수할 경우 협상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지난 2015년 매물로 나온 칸서스운용은 DGB금융지주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지만, 우발 채무 이슈가 불거져 결국 매각이 불발된 바 있다.

투자은행(IB)업계 고위 관계자는 "현재로선 ARA가 인수의지가 큰 만큼 유력 후보지만, 상장사인 신원종합개발이 부동산사업 확장을 위해 뛰어 든 만큼 다크호스가 될지 관심거리다. 이 밖에도 부동산운용사 등도 도전장을 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번 인수전 유력 후보로 손 꼽히는 ARA는 전체 운용 자산이 24조원에 이르는 싱가포르 대형 부동산운용사다. ARA는 아시아와 호주 등 15곳 도시에서 리츠와 사모펀드 등 자산을 운용하고 있으며, 지난 2014년 맥쿼리리얼에스테이트코리아를 인수하면서 한국에 진출했다. 최근 경기도 판교 알파리움 타워 두 개 동을 6000억원 규모에 인수하는 등 국내 대형 오피스 딜에도 저력을 과시하고 있다.

또 다른 인수후보인 코스닥 상장사인 신원종합개발은 1983년 세워진 중견 건설업체다. 2004년 아파트 브랜드 '아침도시'를 선보였으며, 최근 10년간 공공 및 민간 아파트 1만여 가구의 분양을 진행했다.

인수합병(M&A)업계 관계자는 "이번 칸서스자산운용 매각은 신주로 지분을 인수해 기존 구주 인수 보다 원매자 측 입장에선 부담이 다소 적어, 흥행 가능성이 조심스레 제기된다"며 "칸서스자산운용이 부동산 등 대체투자 운용 부문에서 특화됐기 때문에 특히 국내외 부동산 큰손들의 관심이 이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M&A 고위 관계자는 "다만, 칸서스운용이 사할린펀드 손해배상 소송에서 패소하면서 90억원이 넘는 배상금을 지급해야 하는 우발채무 등이 실사 과정에서 변수로 미쳐 매각이 끝까지 흥행할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이번 손해배상 원고측인 우리은행도 칸서스운용 인수를 검토하다가 막판에 접은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한편 칸서스자산운용은 금융감독위원회 대변인 출신인 김영재 회장이 2004년 5월 설립했다. 한일시멘트가 4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대주주이며 군인공제회, KDB생명, 미래에셋대우 등 전략적투자자(FI)들이 나머지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강재웅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