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회사채 발행 풍년인데…기업 투자효과는 `흉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국내 기업들이 다음달로 예상되는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잇달아 채권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에 나서고 있다. 보다 싼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금리 인상 전 회사채 발행을 서두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회사 운영자금과 차환 용도의 회사채 발행이라는 점에서 고용 확대 등 거시경제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4월 회사채 공모 발행 규모는 4조5786억원으로 3월(2조3611억원)과 비교해 94%가량 급증했다. 이 가운데 자재 구매 및 용역대금 결제 등 운영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된 회사채는 2조5103억원(54.8%)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기존에 발행된 회사채를 상환하는 차환자금 용도로 1조3280억원(29.0%)이 발행됐고 설비투자와 공장 증설 등을 목적으로 한 시설자금은 5300억원(11.6%)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회사채 발행 물량이 한 달 새 두 배 가까이 급증했지만 실제로 고용과 투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시설자금 모집은 11%대에 불과했다.

이달 들어서도 23일까지 발행된 공모 회사채는 1조2811억원이나 시설자금 용도로 발행된 회사채는 34%가량에 불과했다. 발행 목적별로 살펴보면 운영자금 7913억원(61.8%), 시설자금 4325억원(33.8%), 차환자금 563억원(4.4%)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 19일 수요예측 성공에 힘입어 80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한 LG화학을 제외하면 시설자금 용도로 발행된 회사채는 325억원에 불과했다. 현재 회사채 발행을 준비하고 있는 SK(3000억원), 한국항공우주(2000억원), 롯데렌탈(2000억원) 또한 운영자금과 차환자금 확보를 위해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 '러시'는 신규 투자를 위한 재원 마련이라기보다는 대외 불확실성에 따른 선제적인 자금 조달로 풀이된다. 매년 하반기 회사채 발행시장이 위축된다는 점을 깨달은 기업들이 미국 기준금리 인상,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대차대조표 축소 및 유로존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이슈 등을 우려해 상반기에 자금 조달에 나선 것이다.

[박윤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