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올해 1Q 디도스 공격 전년보다 감소…웹 애플리케이션 공격은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0Gbps 넘는 대형 디도스 공격 89% 감소

[이데일리 이유미 기자] 올해 1분기 전세계 디도스 공격은 지난해보다 감소한 반면 웹 애플리케이션 공격은 증가했다.

글로벌 클라우드 플랫폼 아카마이코리아가 아카마이 인텔리전트 플랫폼을 통해 전세계 클라우드 보안과 위협 환경을 분석한 ‘2017년 1분기 인터넷 보안 현황 보고서’를 22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세계 디도스(DDoS) 공격은 3174건 발생해 전년 동기 대비 30% 감소했다. 그 가운데 100Gbps 넘는 대형 디도스 공격은 89% 감소했고 최대 공격 규모는 120Gbps를 기록했다.

1분기에는 미라이 DNS WT(Water Torture) 공격이 금융 서비스 업계를 대상으로 발생했다. 공격이 진행되는 동안 영향 받은 DNS 서버 대부분은 1~2Mbps 사이의 균등한 비율로 쿼리(query)를 받았지만 올해 1월 15일 관찰에서는 14Mbps 규모의 공격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1분기 가장 많이 사용된 디도스 공격 기법은 UDP 프래그먼트(29%), DNS(20%), NTP(15%) 순이었다. 새로운 반사 공격 기법인 CLDAP(Connectionless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도 발견됐고 공격 규모 대부분은 1Gbps를 초과했다.

디도스공격이 감소한 반면 웹 애플리케이션 공격 건수는 전년 대비 35% 증가했다. 웹 애플리케이션 공격 발원지는 미국(34%)이 지난 분기에 이어 1위를 차지했고 네덜란드(12.7%), 브라질(8.1%), 중국(5.5%), 독일(4.6%)이 뒤를 이었다.

아카마이 인터넷 보안 현황 보고서 편집자인 마틴 맥키(Martin McKeay) 수석 보안 전문가는 “인터넷과 특정 산업에 대한 위험이 여전히 존재하고 공격은 계속 진화하고 있다. 미라이와 같은 봇넷을 이용한 공격은 점차 교묘해지고 있고 사물인터넷(IoT) 취약점을 디도스 봇넷 및 멀웨어에 악용되는 공격 역시 증가하고 있다”며 “미라이 소스 코드가 공개되면서 미라이의 모든 요소를 다른 봇넷에 통합할 수 있게 됐으며 변형도 발견됐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