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5 (토)

“국내 ICT 스타트업, 성장세 확연하고 혁신활동 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KISDI, ICT 분야 벤처기업의 2년간 변화 추이 추적

해외 시장 매출비중 낮은 건 문제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김대희)이 KISDI 기본연구(16-15-02) ‘ICT 벤처기업 패널데이터 구축 연구’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ICT 벤처패널’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설립된 1,118개 ICT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2016년부터 3년간 설문, 회계, 특허자료를 추적 조사한다.

2016년은 첫해로 조사대상 기업을 선정하고 수집 자료를 확정하는 단계로 수행됐고, 시범적으로 일부 기업만을 대상으로 연간 자료를 비교해 패널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창업 4년 이내의 ICT 벤처기업은 연간으로 변화를 확인했음에도 확연한 역동성을 보여주었다.

조사대상 기업들은 전반적으로 성장세에 있다. 해마다 자산, 부채, 자본이 증가하였는데,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자산은 평균 47.2%씩, 자본은 평균 46.1%씩, 부채는 평균 46.3%씩 증가하였다. 매출액 역시 해마다 증가하여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38.9%씩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ICT 벤처기업들은 활발한 혁신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ICT 벤처기업들의 연구개발비는 연평균 116.6%의 높은 증가율을 보여 이 기간 연구개발에 대한 재무적 투자가 가파르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2015년, 2016년 두 해 간의 인력 증가분(평균 0.5명) 중에서도 기술 및 제품 개발인력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평균 0.2명). 창업 이후에 특허와 실용신안 등의 지재권을 출원한 적이 있는 기업은 1,118개 기업 중 526개로 약 47%에 이르는 벤처기업들이 지재권을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ICT 벤처기업들의 해외 시장 접근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력시장은 국내(97.3%)가 많고 해외 시장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19.2% 정도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매출의 93.8%가 국내에서 발생하였으며 6.2%만이 해외에서 발생했다.

2년간 매출구조를 응답한 234개 기업의 해외 매출 비중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2015년 8.4% → 2016년 6.9%), 해가 갈수록 해외시장을 공략하기가 녹록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벤처기업이 작은 규모에서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외부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높지 않은 점도 국내 ICT 벤처기업에 대한 아쉬운 점으로 지적됐다.

2016년 최근 1년간 외부와의 협력관계가 거의 없다는 응답이 57.1%로 공식·비공식 협력관계가 있다는 응답(42.9%)보다 높았다. 이는 창업 초기의 협력응답(47.7%)보다 더욱 낮아진 것으로 기업 연령이 증가하면서 오히려 협력관계가 부진한 것으로 파악된다.

협력관계 부진의 원인 중 하나는 ICT 벤처기업의 협력 파트너가 정부기관인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국내 정부지원은 신생기업에게 집중되어 있어, 기업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정부지원의 수혜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 2016년 최근 1년간 정부지원을 받은 비율은 47.2%로 창업초기의 58.5%에 비해 11.3%p 감소하였다.

ICT 벤처기업의 협력 파트너도 정부기관(25.9%)인 경우가 가장 많았는데, 이 역시 2개년도 패널의 경우에는 2015년 48.7%에서 2016년 23.5%로 감소하여, 협력활동의 저하와 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국내 ICT 벤처기업들의 글로벌 확장과 정부기관 외에 다양한 협력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ICT 벤처패널’은 2017년, 2018년에도 계속 자료를 누적하여 국내 ICT 벤처기업의 변화양상에 대한 실증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