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가습기살균제 참사 국가 재난으로 규정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7일 가습기살균제 참사 해결 대선공약 촉구 기자회견 열려

【베이비뉴스 이중삼 기자】

베이비뉴스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 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가 27일 오전 환경부 주최로 가습기살균제피해구제특별법 시행령 공청회가 열리는 서울 명동 포스트타워 앞에서 가습기살균제 참사 해결을 위한 대선공약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이기태 기자 ⓒ베이비뉴스


가습기살균제피해자가족모임과 가습기살균제전국네트워크 회원들이 지난 27일 서울시 중구 명동 포스트타워 앞에서 ‘가습기살균제참사 해결 대선공약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각 당 대선후보들에게 가습기살균제참사에 대한 진상규명과 피해보상 등을 촉구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여전히 등한시되고 있는 가습기살균제 참사에 대한 진상 규명과 피해 보상을 정책공약으로 만들어 각 당의 대통령 후보들에게 건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가습기살균제네트워크는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세계 최악의 국가 재난이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2017년 4월 25일 정부에 신고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수는 5561명이며, 사망자 신고자는 1181명이다. 이 숫자는 계속 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난 박근혜 정부 때 가습기살균제참사를 두고 옥시, 롯데마트 일부 기업 관계자들만 형사처벌하는 수준으로 흐지부지 됐다”며 “정작 원료를 만든 SK케미칼은 검찰이 수사 조차 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가습기살균제네트워크는 국회에 대해서도 거센 비난을 퍼부었다.

네트워크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 당시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 의원들이 온갖 방해와 반대행위로 국정조사가 파행을 맞다가 결국 진상 규명, 재발방지 등 큰 줄기의 원칙조차도 관철 못하고 사실상 국정조사를 하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다음으로 발언을 이어간 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은 현 대선후보들에게 가습기살균제 참사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 소장은 “2주전부터 우리니라는 3~4일에 한번 씩 대선후보들이 TV토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가습기살균제참사 이야기는 한 번도 언급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주요 대선후보들은 이 참사에 대해 공약도 내놓지 않고 묵인하고 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또한 최 소장은 “주요 대선후보들은 가습기 살균제 참사를 국가 재난으로 인식해야한다”며 “새 정부는 곧바로 세월호 참사를 비롯해 가습기살균제 참사를 국가 재난으로 규정하고 정부는 본격적인 해결책 제시와 재조사를 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번 대선후보들에게 요구하는 정책공약은 크게 4가지로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정부의 책임이다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기업의 잘못이다 ▲억울한 피해자가 단 한 명도 있어서는 안 된다 ▲소비자 제품 안전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등의 세부적인 내용 20가지가 포함돼 있다.

환경운동연합 최준호 차장은 “대통령 후보들이 가장 먼저 해야 될 것은 대한민국을 장미 대선이 아닌 안전 대선으로 이야기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 차장은 “20 가지의 요구사항을 각 대선후보들에게 전달할 것이며, 대통령이 되는 사람은 이 내용들을 반드시 정책에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습기살균제로 인해 가족을 떠나보낸 피해자 가족의 발언도 이어졌다.

이 피해자 가족은 “가습기살균제참사가 국민들 기억 속에서 잊혀지고 있다. 1000명이 사망했고 5000여 명이 피해 신고를 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아무 것도 해결 된 것이 없다”며 울분을 토했다.

이어 “이번 대통령이 되는 분은 정말 국민을 섬기고 국민을 생각하는 지도자였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이 끝나고 명동 포스트 타워 10층 대회의실에서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 특별법 시행령 제정(안) 공청회’가 오후 1시 30분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됐다.

【Copyrights ⓒ 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