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뉴욕장중]나스닥, 실적 기대감에 사상 최고치 경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뉴욕증권거래소(NYSE).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배상은 기자 = 뉴욕증시가 27일(현지시간) 장중 혼조세다. 양호한 1분기 실적을 발표한 기술기업들이 급등하며 나스닥종합지수를 사상 최고치로 끌어올린 반면,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와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지수는 약보합세를 나타내고 있다.

오후 12시 42분 현재 다우지수는 13.71p(0.07%) 하락한 2만961.38을 기록하고 있다. S&P500지수는 0.83(0.04%) 하락한 2386.62를 나타내는 중이다. 나스닥지수는 16.13p(0.27%) 오른 6041.36를 가리키고 있다.

이날 증시는 기업들의 1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 출발했다. 특히 나스닥지수는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하는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 아마존 등의 주도로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그러나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결국 반락했다. 리비아 최대 규모인 샤라라 유전이 생산을 재개했다는 소식에 유가가 급락하면서 에너지주가 크게 밀려 다우지수와 S&P500 지수를 누르고 있다.

벤치마크인 S&P500지수 11개 업종 가운데 6개 업종이 하락중이다. 유가 하락의 영향을 받은 에너지주가 1.82% 떨어지며 가장 부진하다. 통신주와 금융주도 각각 0.88%, 0.77% 하락하고 있다. 다만 기대 이상의 1분기 실적을 발표한 페이팔이 사상 최고치를 찍으며 S&P500지수를 주도하고 있다. 현재 페이팔은 7% 상승을 나타내고 있다.

개장 전 발표된 다우케미컬과 포드의 올해 1분기 실적은 예상을 웃돌았다. 다우케미컬의 EPS(주당순이익)는 1.04달러로 예상치 0.985달러를 상회했다. 포드의 EPS는 39센트를 나타냈다. 예상치는 34.4센트였다. 다만 다우케미컬과 포드는 각각 1.44%, 1.72% 하락중이다. 포드는 개장 전에는 2% 이상 올랐다.

경제지표는 엇갈렸다.

지난달 미국의 무역적자 규모는 소폭 확대됐다. 상무부는 지난 3월 중 상품 무역수지 적자규모(잠정치)가 전월보다 1.4% 늘어 648억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무역 적자 확대는 1분기 국내총생산(GDP)에 부정적이다.

지난달 핵심 자본재 주문도 예상보다 덜 증가했다. 지난 3월 중 미국의 항공기를 제외한 비(非) 국방 자본재(핵심 자본재) 주문은 전월비 0.2% 늘어 예상치 0.5% 증가를 하회했다. 핵심 자본재 주문은 설비투자가 앞으로 얼마나 늘어날지 미리 가늠하게 해 주는 선행지표로 쓰인다.

지난주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신청건수는 1개월 만에 최대치로 증가했다. 다만 112주 연속 30만 건을 밑돌아 1970년 이후 최장 기간 기록을 이어갔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22일로 마감한 지난주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신청건수는 전주보다 1만4000건 증가한 25만7000건을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인 24만5000건을 웃돈다.

다만 지난달 잠정 주택판매는 예상보다 덜 감소했다. 전미부동산협회(NAR)에 따르면 3월 중 잠정주택판매지수는 전월보다 0.8% 줄어든 111.4를 기록했다. 시장은 1.0% 감소를 예상했다.

전날 발표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세제개혁안이 시장에 별다른 감흥을 주지 못하면서 투자자들은 기업들의 실적 발표로 눈을 돌렸다. 기대를 모았던 세제개편안은 세수 부족분에 대한 대책 등 구체적 정보를 내놓지 않았다. 이에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이 확대되고 있다.

이날 장 마감 후에는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아마존, 스타벅스 등이 올해 1분기 실적을 공개한다.

유가는 리비아 생산 재개 소식에 급락세다.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6월물은 2.14% 하락한 배럴당 48.56달러에 거래 중이다. 브렌트유 6월물은 1.91% 하락한 배럴당 50.83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금값은 반등했다. 6월물 금값은 0.24% 상승한 온스당 1267.2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화의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0.12% 상승한 99.16를 기록 중이다.

달러/엔은 0.15% 상승한 111.23엔에 거래 중이다. 유로는 달러 대비 0.28% 하락한 1.0874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파운드는 0.4% 상승한 1.2900달러에 거래 중이다.

10년물 국채수익률은 0.7bp(1bp=0.01%) 하락한 2.296%을 나타내고 있다.

baebae@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