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시진핑이 추진하는 신도시 계획에 주민·전문가 반대 표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홍콩=연합뉴스) 최현석 특파원 =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역점을 두어 추진하는 신도시 사업에 대한 지역 주민과 전문가들의 우려와 반대가 표출되고 있다.

홍콩 영자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많은 전문가가 슝안신구(雄安新區) 설립 계획의 성공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27일 보도했다.

슝안신구 계획은 수도 베이징(北京) 인구 분산 등을 위해 베이징 남쪽 160km에 있는 허베이(河北) 성 슝안에 신도시를 만들고 베이징의 비수도권 기능과 베이징 거주민을 대거 이전시키려는 일종의 수도권 균형발전 계획이다.

그러나 SCMP에 따르면 슝안 신구 개발계획 수립 과정에 주민 목소리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으며, 베이징 주민을 쫓아내고 불모지에 자원을 투입, 완벽한 도시를 꿈꾸는 이 계획에 대한 우려와 반대가 전문가와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중국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대표인 상하이차이징(上海財經)대 장훙(蔣洪) 교수는 지난 3월 정협 연례 회의 때 슝안신구 계획에 대해 한마디도 들은 적 없다며 "이러한 계획을 좋아하지 않으며 이 계획의 미래가 밝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슝안신구 계획이 철저히 계획 경제 방식이라며 "국가적으로 중요한 특별경제구를 완전히 처음부터 설립하는 데 엄청난 비용이 들 것"이라며 "이 계획에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중국과학원 루다다오(陸大道) 전문가도 이러한 계획이 광범위한 요청이 있고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의회 격)에서 의결했을 때에만 유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베이징의 역사학자 겸 평론가인 장리판(章立凡)은 "중국이 항상 행정 명령으로 자원을 신속히 동원할 수 있다고 자랑했다"며 "그러나 과학적 조사를 통해 사업에 흠이 있다고 입증되면 중국식 신속함이 재앙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는 10년 전 허베이성 차오페이뎬(曹妃甸)을 국가급 신구로 지정하고 베이징에서 대형 제철소를 이전해 중국판 로테르담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했지만, 최근 투자 부족 등에 따른 개발 지연으로 유령도시화 됐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중국은 2014∼2015년 국가급 신구 10개를 지정하는 등 2천㎢ 면적의 차오페이뎬과 같은 국가급 신구 19개를 보유하고 있다.

슝안신구에 포함된 지역의 주민들도 강제 이주 가능성 등을 우려하고 있다.

지난 14일 슝안지구 내 슝(雄)현 후타이 마을에서는 농민 약 30명이 2012년 자신들로부터 땅을 임대한 지역 부동산 개발업자가 슝안신구 설립 계획 발표 후 땅 소유권을 뺐었다며 항의 시위를 벌였다.

인근 야구완 마을에서 비닐봉지 작업장을 운영하는 자샤오리 씨는 수천 개 가내 작업장 중 하나인 자신의 조그마한 사업이 걱정된다며 싸구려 제품 제조가 시 주석의 꿈의 도시에 적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슝안신구 내 양디커우 마을에서 7대째 거주하는 류융장(75) 씨도 "신구 개발이 잘돼야 하지만, 우리 마을이 매몰될까 걱정"이라며 "모든 것이 변하겠지만, 자기 집을 잃는 것을 좋아하는 이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싱크탱크 어번 차이나 이니셔티브의 장겅톈 연구원은 인구가 많은 도시가 혁신에 의존해 병목 현상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인구 재배치가 불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中 새 특구 슝안신구 집값 하룻밤새 70% 폭등
(바오딩<中허베이성> 신화=연합뉴스)



harriso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