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서울 15층 이상 高용적률 아파트 ‘리모델링’ 바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웨이 김성배 기자]최근 서울 노후아파트의 주거대책으로 리모델링이 떠오르고 있다. 시뻘건 녹물이 나와 샤워와 식수 조달이 불편하고, 주차대수가 세대당 한 대도 안되어 밤마다 주차전쟁을 치르며 하루를 마감하는 일부 단지 주민들이 재건축 대신 리모델링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27일 건설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재건축의 경우 지역별 용적률 제한, 임대주택 및 기부채납 등 여러 가지 규제가 많아 사업성이 저해하기도 한다. 하지만 리모델링은 오히려 용적률의 제한이 없어 법정상한 초과가 가능하고 임대주택이나 기부채납 같은 규제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리모델링은 기존 건축물의 골조만 남긴 후 인테리어, 실내 구조, 주차장, 설비, 외관 및 조경까지 새 것으로 바꾸는 방식이다. 구조적 안전을 위해 보강공사는 물론 제진 댐퍼 등을 설치해 신축과 동일한 내진기준으로 설계하여 강한 지진에도 안전하다. 때문에 서울 내 많은 단지들이 재건축의 대안으로 리모델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옥수동 극동아파트 리모델링 추진이 관심을 끈다. 이 단지는 작년 11월 조합 창립 총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해 3월 31일 성동구로부터 주택조합 설립인가를 받았다. 조합은 220%의 높은 용적률이 재건축보다 리모델링 사업으로 진행할 확률을 높이고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이외에도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오금동 아남아파트,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대치성원2차 아파트, 용산구 이촌동에 위치한 현대맨숀 등이 시공사를 선정해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오금 아남아파트과 이촌 현대맨숀의 경우 행위허가 단계로 사실상 리모델링의 9부 능선을 넘은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차기 대선도 정비사업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특히 대선주자 중 하나인 문재인 후보는 기존의 재건축•재개발의 전면 철거 방식 일색의 정비사업 방식을 멈추고, 매년 10조원대의 재원을 투입해 노후주거지를 살리는 도시재생 방식의 정비 방식을 도입하겠다고 공약을 내세웠다.

이와 함께 서울시 내부적으로 주거지역에서 35층을 초과하는 아파트 건립을 불허하겠다는 입장을 고수 중이다. 잠실주공5단지의 경우 당초에 모든 동을 50층 재건축하겠다는 계획에서, 잠실역 인근의 4개동만 50층으로 하고 나머지 동은 모두 35층 이하로 건립하겠다고 계획을 선회했다. 그마저도 대선 및 심의 일정 문제로 심의가 통과한다고 해도 연내 관리처분인가 신청이 어려워 초과이익환수제를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대치동에 위치한 은마아파트 역시 49층 이하로 계획하고 지속적으로 심의를 요청하고 있으나 주민과 서울시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서울시는 불허 방침을 밝히며 35층 초과는 허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라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

김성배 기자 ksb@

저작권자(c)뉴스웨이(www.newsw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