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7 (일)

대차찬고 사상최고치…'주가 끌어내릴라' 공매도 불안감 확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자료:NH투자증권


#. 코스피지수 2000일 때 나스닥 1900이었는데…. 코스피 2200에 다다르니 나스닥은 6000이라네. 코스피지수는 공매도로 크게 흔들릴 시점이 왔다.

최근 나스닥지수가 6000선을 넘기며 사상최고치를 달성했다는 기사에 달린 한 누리꾼의 댓글이다. 사실 지난 2011년 6월까지만 해도 나스닥과 코스피지수는 나란히 2000포인트를 기록하고 있었다. 두 시장의 특징이나 미국 금융시장의 크기를 감안해봐도 나스닥지수 상승은 비교될 수밖에 없다.

일부 국내 투자자들은 코스피와 나스닥지수 차이를 '공매도' 탓이라고 지적한다. 주가가 조금만 오르면 공매도 세력이 다시 주가를 낮춘다는 이유에서다. 공매도 제도는 부작용도 있지만 일부 순기능도 존재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27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주식시장 대차거래 잔고는 70조8747억원으로 사상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틀 연속 최고치경신이며, 사상 처음으로 대차거래 잔고가 70조원을 돌파했다는 소식이 들린 지 불과 5일만이다. 때문에 시장에는 공매도 물량에 대한 두려움이 고개를 들고 있다.

대차잔고란 투자자들이 주식을 빌린 뒤 갚지 않은 물량을 뜻한다. 이를 청산하기 위해서는 보유한 물량으로 되갚거나 매도했다면 판 수량 만큼 다시 사야한다. 따라서 대차잔고가 많다면 공매도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물론 헤지거래, 현·선물간 차익거래 등 잔고를 처리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대차잔고와 공매도는 서로 비례관계를 보여 왔다.

이에 따라 2200선을 뚫으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코스피지수가 공매도 물량의 대거 유입으로 다시 하락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투자자들의 불안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공매도는 그동안 많은 논쟁거리였다. 특히나 공매도의 주체는 외국인이 75%, 기관투자가 20%, 개인 5%일 정도로 개인의 비중이 적기 때문에 개미투자자만 손해를 보는 제도라며 비판을 받아온 게 사실이다. 개인이 공매도 거래를 하기 위해선 전문투자업자로 등록해야하는 등 제약이 많다. 공매도로 인한 개미들의 손실은 '한미약품 사태'에서 정점을 찍었다.

지난 해 9월 한미약품의 공매도 수량은 10만4327주(약 616억원)로 상장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평소보다 20배가 넘는 공매도 물량이 쏠렸다. 이는 베링거인겔하임이 한미약품의 '올무티닙' 기술개발 권리를 반환했다는 공시가 있기 전이었다. 베링거인겔하임의 권리 반환 소식 후 한미약품의 주가는 20%가까이 폭락했다. 공매도 세력은 20%의 수익률을 올렸고 일반 투자자들은 20%의 손해를 입었다.

이처럼 개인은 진입하기 어려운 공매도 거래에서 기관이나 외국인들은 뛰어난 정보망을 활용해 이득을 챙겼다. 특히나 정보의 비대칭성이 강한 국내 금융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독점하고 있는 공매도 시장에 대해 일각에서는 전쟁터에 비유하며 '외국인과 기관은 칼과 방패를 들고 하는데 개인은 칼만 들고 있는 상황'이라고 표현했다.

하지만 공매도를 완전히 폐지한다는 것에 대해선 반대 여론도 존재한다. 주식 상승을 크게 제약하는 것도 아닐뿐더러 대부분의 국가에서 도입하고 있는 제도를 국내만 제한한다면 외국인의 자금 유입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삼성전자의 사례를 보면 주가 상승은 공매도 보다는 기업 펜더멘털(기초체력)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난 25일 삼성전자 총 거래량(38만5992주)의 12.2%(4만7285주)가 공매도 물량이었다. 반면 이날 삼성전자 주가는 3.54% 상승했다. 삼성전자의 1분기 실적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고, 반도체 부문의 향후 실적 기대감이 공매도에도 불구하고 주가를 끌어올렸다.

NH투자증권 QV클럽 주식설전에서 백승우 연구원은 "공매도가 많은 주식은 대기 매수 세력도 많다는 것이기 때문에 주식 상승장에 불리하게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국만 공매도를 금지하면 오히려 외국인들에게 한국시장의 리스크로 작용해 자금 유입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한국거래소는 공매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 규제를 도입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공매도 잔고를 보고하지 않아도 별다른 제재가 없었지만 이를 의무화했고 이를 지키지 않을땐 과태료 부과 등 엄격한 규제가 가해질 전망이다. 때문에 주식 총수의 0.5% 이상 공매도 잔고를 보유하고 있다면 주체와 잔고비율 공시는 의무다. 또 0.1% 이상 변동 시에도 보고해야 한다.

한 투자업계관계자는 "공매도가 거품이 낀 주식 가격을 제거하는 순기능도 존재하기 때문에 제도를 폐지하는 것은 실정에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손엄지 기자 sonumji301@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