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올 1분기 전국 땅값 0.74%↑.. 2010년 11월 이후 77개월째 상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개발수요 많은 제주>세종>부산 順 상승률 높아

서울 0.75% 올라.. 2013년 9월부터 43개월째 상승

토지거래량 2006년 이후 가장 많아.. '저금리+개발수요'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올해 1분기 전국 땅값이 전분기에 비해 0.74% 올랐다. 77개월 연속 상승세다. 저금리 기조에 따른 투자 수요가 꾸준히 늘면서 개발 호재가 많은 제주·세종·부산 등 지방을 중심으로 거래도 늘고 가격도 많이 올랐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1분기 전국 땅값은 0.74% 올라 2010년 이후 77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올 1분기 땅값 변동률은 지난해 동기(0.56%)에 비해 0.18%포인트 높지만 소비자물가변동률(1.1%)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전국 17개 시·도의 땅값이 모두 상승한 가운데 수도권(0.71%)보다 지방(0.78%)의 상승률이 높았다. 서울(0.75%)은 2013년 9월부터 43개월 연속 소폭 상승 중이며, 인천(0.67%)·경기지역(0.68%)은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지방에서는 제주가 1.24% 올라 전국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 또 세종(1.23%)·부산(1.14%)·대구(1.00%)·강원(0.83%)·전남(0.78%)·경북(0.77%) 등 7개 시·도가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시·군·구별로는 부산 해운대구(1.94%)가 분양시장 활황 및 해안가 인근 상업용지 수요 증가 등으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경기 평택시(1.48%)도 고덕국제신도시, 미군기지 이전 등 각종 개발 호재로 많이 올랐다. 반면 울산 동구(-0.75%)와 경남 거제(-0.19%) 등은 조선업 경기 침체에 따른 부동산수요 감소로 땅값이 하락했다.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0.80%), 상업지역(0.75%), 계획관리지역(0.73%), 녹지지역(0.65%)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용상황별로도 주거용지(0.78%), 상업용지(0.73%), 전(0.72%), 답(0.69%), 공장용지(0.52%), 임야(0.50%) 순으로 많이 올랐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 1분기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및 순수토지) 거래량은 71만 5000필지(532.7㎢, 서울 면적의 0.9배)로 지난해 1분기에 비해 10.6% 늘었다. 건축물 부속 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28만9000필지(497.1㎢)로 8.6% 증가했다.

지역별 1분기 전체 토지 거래량(전년 동기 대비)은 광주(26.9%), 대구(25.0%) 등은 증가한 반면, 제주(-7.2%), 경북(-5.1%) 등은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대구(31.8%), 인천(30.4%), 부산(18.0%) 순으로 증가한 반면, 제주(-20.9%), 세종(-6.0%) 등은 감소했다.

용도지역별로는 전체 토지 기준(전년 동월 대비) 용도 미지정(82.6%), 개발제한구역(27.4%), 상업지역(23.4%), 녹지지역(16.0%) 순으로 증가했다. 지목별 전체 토지 거래량은 임야(18.4%), 기타(14.3%), 대지(10.7%), 공장용지(8.6%), 답(8.0%), 전(5.8%) 순으로 높게 상승한 가운데 이 중 건물유형별(대지와 공장용지 집계)로는 공업용(54.0%), 상업업무용(44.0%), 나지(7.6%), 주거용(5.8%) 순으로 증가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1분기 지가변동률은 개발수요가 많았던 제주·세종·부산 등 지방을 중심으로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면서 “개발수요 및 투기우려가 많은 지역에 대해서는 토지가격과 거래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시장을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