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목원 "제거 만이 능사 아냐…토종과 공생연구 필요"
조선 말 개항 이후 최근까지 국내에 들어온 외래식물이다.
외래식물 '나도닭의덩굴' [국립수목원 제공=연합뉴스] |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최근 발간한 책자 '한국 침입 외래식물의 이해'에 따르면 이들 외래식물은 모두 400여종으로 국내 자생식물 4천100여종의 10%를 차지한다.
◇ 10년 이상 된 '귀화식물' 250종
외래식물 중 10년 이상 생육과 확산이 진행된 '귀화식물'이 250종에 달한다.
대표적으로 1949년 이전에 유입된 애기수영은 현재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정착해 자라고 있으며, 1996년 이전에 유입된 양장구채는 분포지역은 국지적이지만 지속해서 생육하고 주변으로 확산하며 대규모 발생을 보인다.
외래식물 '양장구채' [국립수목원 제공=연합뉴스] |
아직 국내에 야생상태로 존재하지만 정착 여부가 불확실한 '임시정착식물'이 70종이다.
최근에 유입된 톱니대극(2009년), 마늘냉이(2012년), 전호아재비(2012년), 산형나도별꽃(2014년) 등으로 국립수목원이 지속해서 모니터링한다.
외래식물의 종 구성은 벼과(75종)와 국화과(63종)가 전체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다음으로 콩과, 십자화과, 석죽과의 순이었다.
이들 중 산림에서 찾아볼 수 있는 종은 186종으로 전체의 58.1%를 차지했다.
◇ 제주도가 187종으로 가장 많이 서식
지역별 침입 외래식물 분포를 보면 제주지역에 187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서식하고 있었고, 경기와 전남이 각각 164종, 인천 163종, 서울 158종, 강원 151종의 순이었다.
외래식물 '소리쟁이' [국립산림과학원 제공=연합뉴스] |
광주가 56종으로 가장 적고, 대전(64종), 울산(71종), 충북(91종), 부산(99종)의 순으로 적었다.
제주 등 외래식물 종이 많은 곳은 대부분 대규모 관광지이거나 인구 밀집지역 또는 공항, 항만 등 초기유입지역이 위치한다는 특성이 있었다.
외래식물 '끈끈이대나물' [국립수목원 제공=연합뉴스] |
원산지별 유입현황을 보면 남북아메리카와 열대 아메리카 등 아메리카 원산의 식물이 120여 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라시아, 유라시아 및 아프리카가 각각 50여 종, 유럽 30여 종, 아시아 10여 종의 순이었다.
생활형으로 분류하면 1년생이 139종, 다년생이 116종, 2년생 52종, 1년 혹은 다년생 5종 등이었다.
◇ 외래식물 제거만이 능사 아니다
국립수목원에 따르면 외래식물의 생태계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
예를 들어 외래식물 가시박이 관찰되는 지역은 외래식물뿐 아니라 자생식물도 함께 유입돼 경쟁하는 전쟁터와 같은 공간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런 지역에서 외래식물이 월등한 생명력으로 생육지를 잠식하고 자생식물의 생존을 압박하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해서 직접적인 위해성이 있다고 보는 것은 성급하다는 것이다.
식물은 먹이사슬 중 생산자 위치에 있어 위해성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외래식물 '메밀여뀌' [국립수목원 제공=연합뉴스] |
그동안 언론을 통해 문제로 지적된 외래종들은 대부분 식물이 아닌 동물 즉, 어류, 파충류, 양서류 등으로 생태계 내 지위가 1, 2, 3차 소비자들이다.
먹이사슬의 최상위로 올라갈수록 생태계영향의 파급효과는 엄청나다고 볼 수 있지만 이에 비해 식물이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전국 곳곳에서 생태계 회복을 목표로 내세운 외래식물 제거작업이 진행된다.
하지만 이미 침입한 상태의 외래종들은 높은 확산력으로 생태계 내에서 나름의 지위를 갖고 상호작용하고 있으며, 종마다 그 역할에 따른 생태계 순환을 일으키고 있다는 게 국립수목원의 설명이다.
외래식물 '애기수영' [국립수목원 제공=연합뉴스] |
인위적인 외래종 제거작업 등으로 생태계 순환에 또 다른 변화가 발생하면 잠재적인 2차 피해 역시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최근에 제기된 전문가들의 견해라는 것이다.
국립수목원 관계자는 "외래식물의 완벽한 제거는 불가능에 가깝다는 점에서 자생식물과의 공생 등 긍정적인 측면의 연구가 필요하다"며 "외래종에 의해 위협받을 가능성도 있는 고유종이나 희귀종, 멸종위기종에 대한 보전 방안 마련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yej@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