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美, “강력한 외교와 압박 병행으로 북한 문제 해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언론 브리핑 중인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사진=EPA연합)


[아시아경제 뉴욕 김근철 특파원] 북한의 창군일을 맞아 우려됐던 6차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는 없었지만 미국 정부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강력한 외교적, 경제적 압박을 병행하겠다는 방침을 25일(현지시간) 밝혔다.

마크 토너 미국 국무부 대변인 대행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제 우리는 북한이 바른 행동을 하기를 기다리는 시기가 오래전에 지났다는 점을 알고 있다"면서 "북한이 비핵화를 추구하도록 설득하거나 핵 활동을 중단하도록 충분한 압박을 가하기 위해 더 확고하게 움직여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우리가 고려하는 것은 북한 정권을 고립시키도록 압력을 가하는 것"이라면서 "압력의 요점은 외교적이고 경제적인 것"이라고 밝혔다.

토너 대행은 특히 "(국제 사회의) 대북 제재가 완벽하게 실행만 된다면 (북한에) 압력이 될 것"이라면서 "이를 '압박 작전'이라고 하고 싶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미국이 희망하진 않지만 필요하다면 군사적 옵션도 사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토너 대행은 이어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오는 28일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의 북핵 관련 긴급 회의를 주재하면서 다른 나라의 대북 제재 이행이 미흡하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라고 전했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도 트럼프 정부가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향후 외교와 (경제적) 압박을 계속 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앞으로 외교적이면서도 압박을 계속하는 방법으로 (북한)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외교적 접근 이상으로 중국을 비롯한 주변 국가들과 함께 북한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 수단을 통해 압박을 지속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스파이서 대변인은 트럼프 정부의 새로운 대북 정책에 대해서는 "아직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공화당의 거물급 중진들은 북한을 향해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를 잇달아 던졌다. 상원 군사위원장인 존 매케인 의원과 군사위 중진인 린지 그레이엄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선제타격하는 방안을 포함한 모든 옵션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뉴욕 김근철 특파원 kckim100@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