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힐러리 '유착' 비판하던 오바마도 4억5천만 원 연설 사례금 논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월스트리트의 금융업체로부터 한 차례 연설 사례금으로 4억 5천만 원을 받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대통령 등 고위 정치인과 전직 관료들이 거액의 연설 사례금 등을 받는 관행에 근본적 문제가 있다는 논란은 이전에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오바마 대통령의 경우 월스트리트의 탐욕을 강력히 비판해 왔으며,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거액 연설 사례금 수수를 신랄하게 꼬집었던 만큼 논란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미국 폭스비즈니스 방송은 오바마 전 대통령이 오는 9월 금융투자업체 캔터 피츠제럴드가 개최하는 연례 보건분야 투자자 오찬 회의에서 한 번 기조연설을 하는 대가로 40만 달러를 받기로 계약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보도 이후 오바마 전 대통령이나 업체 측에서 이를 부인하지 않는 가운데 각 언론매체는 오바마의 과거 관련 행적과 퇴임 이후 벌 거액 수입을 조명하고 있습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재직 시절 월스트리트와 자주 긴장관계에 있었습니다.

특히 2009년엔 금융위기로 미국과 세계가 어려움을 겪는데도 금융사 대주주와 경영진은 거액의 연봉과 보너스를 챙기고 세제 혜택까지 누린다며 '무책임한 살찐 고양이들'이라고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또 작년 백악관 출입기자 만찬에선 힐러리 클린턴이 국무장관 퇴임 직후 투자회사 골드만삭스로부터 거액의 연설료를 받은 것을 비판하면서 "나도 퇴임 후인 내년에 골드만삭스를 이용할 것"이라고 비꼬았습니다.

당시 클린턴은 3회 연설에 총 67만5천 달러를 받았습니다.

1회 연설료는 22만5천 달러로 오바마가 캔터 피츠제럴드로부터 한 번 연설로 받는 돈의 절반 정도입니다.

거액 연설 사례금을 비롯한 클린턴 부부의 퇴임 후 재산형성 과정은 미국 대선 민주당 내부 경선과 도널드 트럼프 후보와의 본선에서도 '서민 대통령'을 자처한 힐러리 측의 구호가 허구임을 공격하는 좋은 소재로 사용됐습니다.

시민단체 '변화를 위한 뉴욕 공동체'의 조너선 웨스틴 사무총장은 월스트리트 대형금융사들과 친하게 놀며 호의를 베풀어 민주당의 기반을 어지럽히고 난처하게 만드는 똑같은 일을 오바마도 되풀이하는 것에 실망했다고 파이낸셜 타임스에 말했습니다.

민주당 정치 컨설턴트 행크 셰인코프는 일간지 뉴욕포스트 인터뷰에서 모든 전직 대통령이 그런 행태를 보였기에 오바마도 그러리라고 예상했어야 한다고 말할 수는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그러나 "끊임없이 소득 격차에 관해 얘기하고 월스트리트를 비판했던 오바마가 이제는 자신이 살찔 고양이라고 비판했던 사람들로부터 급식을 받고 있다는 점은 역설적이며, 역설적이기보다는 위선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오바마 대통령 부부는 지난 2월 미국 출판사 펭귄 랜덤 하우스와 자서전 2권 출판 계약을 맺었으며 판권료는 총 6천500만 달러로 역대 미국 대통령 중 가장 많은 금액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는 보도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이매진스)

☞ 생생하게 듣는다! 대선후보 가상정책배틀
​☞ [Focus] 대선주자 페이스북을 통해 본 숨은 표심
※ ⓒ SBS & SBS콘텐츠허브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