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동네 책방 살리자'…서울 서점 전수조사 후 인증제 도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 연말까지 서점 DB 구축해 인증 기준 마련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서울시가 운영난을 겪는 동네 책방을 살리고자 시내 서점을 전수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지역서점인증제를 도입한다.

서울도서관은 올해 연말까지 사업비 6천500만원을 들여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서울시 서점 전수조사 및 지역서점 지원기준 수립 용역'을 진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서울도서관 관계자는 "동네 책방이 경영난 등으로 계속 문을 닫고 그 자리를 대형 서점이 채우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며 "서울 시내 서점 현황을 파악해 어떤 부분을 도와줄 수 있을지 파악해 동네 책방을 살려보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올해 연초 대형 서적도매상인 송인서적이 부도를 맞으면서, 영세한 출판업계와 동네 책방의 위기가 화두로 떠오른 바 있다. 당시 송인서적과 거래하던 동네 책방에 타격이 있으리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박원순 서울시장 역시 적극적인 지원 의지를 밝히면서 "사람과 지식이 교류하는 동네서점이 골목골목 실핏줄처럼 살아있는 나라, 책 읽는 저녁이 결코 낭만으로 끝나지 않는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서울시와 서울도서관은 이를 위해 우선 연말까지 시내에 있는 동네 책방의 현황을 꼼꼼하게 파악한다.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서울 시내 책방은 378개, 헌책방까지 합치면 459개로 파악된 바 있다.

이번에는 단순히 어디에 어느 책방이 있는지를 조사하는 수준을 넘어, 사람을 일일이 보내 경영 현황이나 어려움 등을 자세히 들여다볼 예정이다.

이를 통해 서울 시내 동네 책방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지난해 구축한 서울시 책방지도를 연말까지 업데이트한다.

특히 DB화된 자료를 토대로 기준을 마련해 이르면 내년 이후를 목표로 일정 수준을 갖춘 동네 책방에 인증을 부여하는 '지역서점인증제' 도입을 검토한다.

서울도서관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서점업으로 등록만 하면 누구나 공공도서관에 책을 납품할 수 있어 동네 책방이 피해를 보는 구조였다. 도서정가제로 어차피 가격은 어디나 똑같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서점인증제를 도입하면 '무늬만 서점'을 걸러내고 동네 책방이 공공도서관에 납품할 수 있게 된다"며 "공공도서관 입장에서도 양질의 도서를 구할 수 있게 돼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대책은 서울시가 동네 책방을 살리고자 추진하는 지원 계획의 하나다.

서울시의회는 앞서 지난해 '서울특별시 지역 서점 활성화에 관한 조례안'을 제정하고, 서울시장에게 3년마다 지역 서점 지원 계획을 수립·시행할 의무를 부여한 바 있다.

조례에 따르면 이 지원 계획에는 ▲ 지역 서점 지원 정책 지원 방향 ▲ 경영 및 시설개선 등 자금 지원에 관한 사항 ▲ 선진 유통기법 교육 및 경영컨설팅 지원에 관한 사항 ▲ 지역 서점 상권 활성화에 관한 사항이 담긴다.

시장은 지역 서점을 지원하기 위해 창업지원, 경영개선 지원, 마케팅 지원, 컨설팅 지원, 장수서점 지원 등을 할 수 있다.

조례는 또 지역 서점 활성화 대책을 심의·자문하는 서울특별시 지역서점위원회를 두고, 서울도서관장과 서울시의원 등을 위원으로 위촉하도록 했다.

서울도서관 관계자는 "지난해 조례 제정으로 지역 책방 살리기 정책에 일종의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고 부연했다.

연합뉴스

지역 책방 살리기 (연합뉴스 자료 이미지)



연합뉴스

동네 책방 (연합뉴스 자료 사진)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tsl@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