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힘찬병원 권혁남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이 비절개 연골재생술로 환자의 무릎을 치료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퇴행성 관절염은 노년층은 물론 중장년층도 흔하게 앓는 질환 중 하나다. 국내 관절염 환자는 2015년 기준 449만명으로 이 중 60대가 26.6%(120만명), 50대가 24.3%(109만명)로 가장 많다. 노년층 질환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했던 퇴행성 관절염이 50·60대에서도 유병률이 작지 않은 셈이다.
늘어나는 환자만큼 새로운 치료법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현재 줄기세포를 이용한 관절염 치료제가 전 세계적으로 화두다.
대표적인 관절염의 줄기세포 치료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골재생술'이다. 이 시술법은 주로 인공관절수술을 하기에 비교적 이른 단계인 중기 관절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된다.
최근 연골재생술과 관련해 권혁남 강북힘찬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비절개 연골재생 술기를 선보여 주목받고 있다.
지금까지는 손상된 연골에 줄기세포 치료제 등 연골을 재생시키는 성분을 이식하기 위해 대부분 5~10㎝가량 관절 절개를 했다. 절개해 시야를 확보한 후 줄기세포 치료제(카티스템)나 생체 적합 연골치료제(메가카트리지, 카티필) 등 연골 재생을 도와주는 치료제를 이식하는 방식이었다.
이에 반해 비절개 연골재생술은 무릎 절개 없이 관절내시경만으로 충분히 시야를 확보하면서 이 같은 연골 재생 치료제 이식이 가능해졌다. 적용될 수 있는 무릎연골 손상 크기에 따른 한계점 등의 논란이 일부 제기됐지만 힘찬병원에 따르면 연골 손상 크기에 관계없이 비절개 연골재생술을 다수 성공시켰다고 밝혔다.
권 원장은 지난해 무릎 절개 없이 생체 적합 연골치료제를 이식해 연골 재생을 돕는 술기를 발표한 데 이어 올해 2월에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 치료제(카티스템)도 절개하지 않고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친 바 있다. 특히 국내에서 판매되는 줄기세포 치료제인 카티스템은 지난해 4분기 국내 판매량이 전기 대비 42.8% 증가해 사상 최대를 기록하는 등 국내에서 연구개발된 각광받는 연골 재생 치료제로, 연골 손상 부위의 크기나 환자 연령, 질병 등의 영향을 작게 받아 광범위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절개 방식의 연골재생술과 수술법의 차이가 있는 만큼, 일각에서는 비절개 연골재생술을 둘러싼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무릎연골 손상 부위가 작을 경우에는 비절개 방법이 가능하지만, 연골 손상 면적이 넓어지면 시야 확보가 어려워 비절개 방법으로는 시술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의견이다. 즉 물을 채워 관절 내부를 살피는 관절내시경술 후에 물을 빼고 치료제를 이식하려면 무릎 내부의 여러 조직들 때문에 시야 확보가 불가능하다는 우려였다. 하지만 권 원장은 특수 수술기구를 이용한 독자적인 방법으로 무릎연골 손상 부위가 넓은 환자들에게도 수차례 성공시켰다. 무릎연골의 내외측은 물론 접근 및 치료가 비교적 어려웠던 무릎 앞쪽 뼈인 슬개골을 비롯해 연골이 광범위하게 손상된 환자 등 다양한 환자들에게 30건 이상의 비절개 연골재생술을 진행해 성공적인 결과를 거뒀다.
권 원장은 "연골 손상 크기와 위치가 다른 다양한 환자를 대상으로 비절개 연골재생술을 시행한 결과 연골 손상의 크기에 상관없이 절개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최대한 관절을 보존하는 치료가 가능하다"며 "기존에 무릎을 절개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수술 후 흉터나 관절 구축, 불편감 등 여러 부작용을 감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비절개 연골재생술은 절개 수술 후 생길 수 있는 부작용 위험이 없기 때문에 흉터 및 통증, 감염을 최소화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무릎 절개 수술 후 보행하게 되면 흉터가 바지에 쓸려 통증이 발생하거나 켈로이드 타입이나 흉터가 큰 경우에는 관절 구축이 생겨 관절운동 범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비절개 수술법은 절개 수술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없다. 권 원장은 "비절개 수술법은 절개 수술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나타나는 다양한 부작용의 위험이 없기 때문에 회복 또한 빠르다"며 "절개하지 않고 무릎연골을 재생할 수 있는 비절개 수술 방법이 널리 상용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존 절개 수술은 관절막부터 피부층까지 여러 부위를 각각 수 바늘씩 여러 차례 봉합해야 했지만 비절개 연골재생술은 무릎에 0.5~1㎝ 정도로 볼펜보다 더 작은 크기의 구멍을 2~3개 뚫어 한 바늘 정도 봉합 과정을 거친다. 봉합 과정이 거의 없어 20분 이내 수술을 끝낼 수 있고 감염 위험성도 크게 낮췄다.
절개 수술 시에는 절개된 부위의 상처 회복 경과를 살피기 위해 일주일 이상의 입원 치료가 필요하지만 비절개 연골재생술은 통증이 거의 없어 시술 후 하루 또는 이틀 만에 퇴원해 바로 일상생활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