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330년 전 국토 최전선 지켰던 서양식 화포 발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천 강화 '건평돈대' 발굴 중 실전 사용 추정 불랑기 확인

뉴스1

출토된 불랑기. 문화재청 제공 © News1


(서울=뉴스1) 박창욱 기자 =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강화군(군수 이상복)과 인천시립박물관(관장 조우성)이 시행한 인천 강화군 양도면의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8호 '건평돈대'(乾坪墩臺) 발굴조사에서 불랑기(佛狼機)의 포신인 모포(母砲) 1문(門)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돈대(墩臺)는 병자호란 이후 유사시 왕실의 안전을 책임지는 강화도의 방비를 위해 외적의 침입과 움직임을 탐지하고 상륙을 저지할 목적으로 쌓은 조선 후기 대표적 군사시설로, 1679년(숙종 5년) 강화도 해안 요충지에 48개를 쌓았고 이후 6개를 추가로 건설해 총 54개에 이른다.

건평돈대는 당시 쌓은 돈대 가운데 하나로, 조선 중기 문신 이형상(1653~1733)이 지은 '강도지(江都誌)'에서 강화도의 각 돈대에는 유사시 적을 방어하기 위해 2~4개의 포좌를 설치하고 불랑기를 배치한 것으로 기록이 남아 있는데, 이번 불랑기 발굴을 통해 그 실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뉴스1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불랑기는 16세기 유럽에서 전해진 서양식 화포의 일종으로, 포문(砲門)으로 포탄과 화약을 장전하는 전통 화포와 달리 현대식 화포처럼 포 뒤에서 장전을 하는 후장식 화포다. 포신인 모포(母砲)와 포탄과 화약을 장전하는 자포(子砲)로 분리되어 있고, 모포 뒷부분에 자포를 삽입한 뒤 불씨를 점화해 발사하는데, 보통 1개의 모포에 5개의 자포가 한 묶음을 이루면서 빠른 속도로 연사(連射)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불랑기는 2009년 서울시 신청사부지(군기시 터)에서 출토된 불랑기 자포(子砲) 1점(보물 제861호, 1563년 제작)을 제외하고 출토지가 불분명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번에 출토된 건평돈대 불랑기는 실전 배치 장소에서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다.

또 포신(砲身)에 남겨진 명문에 불랑기의 제작 기관, 감독 관리와 장인의 이름까지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1680년(숙종 6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고 제조 관청도 확인되어 조선 시대 무기사와 국방 체계를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신 명문 내용은 '1680년(숙종 6) 2월 삼도수군통제사 전동흘 등이 강도돈대에서 사용할 불랑기 115문을 만들어 진상하니 무게는 100근이다. 감주군관 절충장군 신청, 전추관 최이후, 전만호 강준, 장인 천수인'으로 돼 있다. 출토된 불랑기와 발굴현장은 오는 26일 오후 2시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건평리 건평돈대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cup@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