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韓, 세네갈 등 아프리카 5개국 민간인프라 구축에 참여키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주성식 기자(세종) =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 20개국이 아프리카 지역의 일자리 창출, 삶의질 개선을 위한 민간 인프라 투자 활성화를 적극 추진키로 합의했다.

2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 20~21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G20 재무장관회의에서 참석국들은 ‘아프리카 협약’ 이니셔티브 논의를 위한 제3차 아프리카 자문그룹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5개 국가의 재무차관이 참석해 준비 중인 아프리카 협약의 개략적인 내용을 설명하고 향후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G20 의장국 독일이 정상회의 주요 성과의 하나로 추진 중인 아프리카 협약은 민간 인프라 투자 활성화를 위한 개별 아프리카 국가의 투자협약을 중점적으로 마련 중이다.

이에 따라 현재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등 국제기구와 르완다, 코트디부아르, 세네갈, 모로코, 튀니지 등 5개국이 각국의 투자협약 내용을 준비하고 있으며, 협약 내용이 구체화되면 G20 회원국, 국제금융기구 등을 대상으로 협약의 파트너로 참여할 것을 촉구할 예정이다.

특히 개별 투자협약은 각국의 민간 투자환경 개선을 위한 제도개선, 구조개혁 등을 포함한 일련의 계획을 담고 있으며, 협약 파트너로 참여하는 국가 및 국제기구는 그 이행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송인창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이 이번 회의에 수석대표로 참석해 아프리카 협약의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신탁기금(KTF), 지식공유프로그램(KSP) 등을 통해 아프리카 국가의 인프라 투자 환경 개선에 앞장서고 있는 우리나라는 그간의 경험을 살려 아프리카 협약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5월과 6월 각각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과 독일 베를린에서 제4차 자문회의와 아프리카 컨퍼런스를 개최해 민간 투자자들을 초청하고, 각국의 투자환경 개선 공약을 담은 투자협약 최종안 설명을 통해 민간 투자 확대를 제안할 예정이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