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6 (토)

조현병학회 "조현병 환자를 잠재적 범죄자로 몰아선 안 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치료받으면 관리 가능…정책적 지원 필요

(서울=연합뉴스) 김민수 기자 = 최근 조현병을 앓았던 일부 환자들의 범죄로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계속 나빠지고 있다. 그러나 조현병은 치료를 받으면 충분히 관리가 가능한 질환이므로 모든 환자를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해선 안 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23일 대한조현병학회에 따르면 조현병은 통제가 불가능한 질환이라는 사회적 편견과 달리 정기적으로 약을 먹고 증상을 조절하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다.

조현병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보통 하루 1~2회씩 복용해야 한다. 다만 환자가 정해진 용법과 용량을 따르지 않으면 다른 약물치료와 마찬가지로 증상이 악화할 수 있고, 질환이 만성화될 가능성이 커진다.

문제는 사회적 편견으로 조현병 환자를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하면 환자들이 질환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숨기거나, 약물 복용을 꺼리기 때문에 치료 환경이 더 나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조현병 환자는 경제활동을 제한받기 일쑤이기에 '메디컬 푸어'(의료 빈민층)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

조현병학회는 국내 조현병 환자 중 46.8%가 기초생활보장수급자인 의료급여 환자로 파악하고 있다.

학회 보험이사를 맡은 최준호 교수(한양대구리병원)는 "조현병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충분히 일상생활이 가능한 질환인데도, 대부분의 환자가 열악한 치료 환경에 놓여있다"며 "환자들이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아 질환의 만성화를 막고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치료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한번 복용하면 1∼3개월가량 약효가 유지되는 장기지속형 치료제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장기지속형 치료제를 사려면 월 5만5천원~9만6천원 정도가 드는데 이는 기초생활수급권자의 한 달 평균 생활비 중 약 10~20%에 달하는 비용이다.

최 교수는 "장기지속형 치료제는 환자가 자의로 약물을 끊지 않을 수 있어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된다"며 "이런 장점으로 영국과 호주는 장기지속형 치료제 사용률이 각각 50%, 30%에 달하지만 우리나라는 비용문제로 3%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정부가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해소하고, 환자들이 증상을 관리할 수 있게 다양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장기지속형 치료제에 대한 급여 지원이 하나의 해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서울대병원 의학정보자료를 보면 조현병은 망상, 환청, 정서적 둔감 등의 증상과 더불어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정신적 질환이다. 다소 생소한 조현병(調絃病)이란 용어는 2011년에 정신분열병(정신분열증)이란 병명이 바뀐 것이다. 정신분열병이 사회적인 이질감과 거부감을 불러일으키며 편견을 조장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조현(調絃)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는 뜻으로, 조현병 환자의 모습이 마치 현악기가 정상적으로 조율되지 못했을 때처럼 혼란스러운 상태를 보이는 것과 같다는 데서 비롯됐다.

연합뉴스

조현병.정신질환 강력범죄 (PG)
[제작 최자윤] 일러스트



kms@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