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ETRI, IoT 기기용 네트워크 보안기술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이유미 기자] 국내 연구진이 사물인터넷(IoT)에 사용되는 경량 기기용 네트워크 접속제어 프로토콜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국제표준 규격을 준수해 경량 기기에서도 동작 가능한 보안 프로토콜을 누리텔레콤의 원격검침 상용제품에 탑재했다고 28일 발표했다.

이 보안기술은 누리텔레콤이 노르웨이에서 수주한 800억원 규모의 해외 지능형 원격검침(AMI)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에 적용됐다. 이 기술은 기기간 상호인증 및 키 분배를 제공하는 보안 프로토콜로서, 현재 대규모 현장 검증을 위해 국내 연구진이 기술 지원을 하고 있다.

ETRI 연구진이 기술개발에 성공한 파나(PANA) 프로토콜은 기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기기들만이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키를 분배해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국제 표준 기술이다.

누리텔레콤의 원격검침(AMI) 상용 단말기 개발로 전기뿐만 아니라 수도, 가스의 실시간 검침이 가능해 졌다. 또한, ETRI 파나 프로토콜의 적용으로 원격검침 인프라에 대한 보안성을 한층 높였다.

허성욱 미래창조과학부 정보보호기획과장은 “ETRI의 경량 기기용 네트워크 접속인증 기술의 개발 및 원격검침 인프라 적용은 IoT 인프라 보안의 마중물로서의 의미가 크다. 향후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향후 스마트 전력 및 스마트 시티 등 IoT 인프라 보안의 견인차 역할을 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재일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정보보호 CP도 “이 기술은 자원의 제약이 많은 경량 기기들이 서로 연결되는 대규모 IoT 환경에서 필수적인 보안 기술로, IoT 산업의 발전과 시장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연구진은 이번 기술 개발과 관련해 SCI급 논문 6편을 작성했고 국내외 17건의 특허출원을 완료했다. AMI 전문업체 및 보안업체 등에 기술이전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원격검침인프라(AMI)에서 스마트미터 기기의 인증을 위해 스마트미터 기기와 데이터집합장치(DCU) 사이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접속제어 프로토콜(PANA) 수행 과정에서의 상호 인증 메시지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ETRI)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