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대우조선 채무조정안, 은행주에 대한 영향 제한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동부증권은 최근 정부가 발표한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구조조정안이 은행주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병건 동부증권 연구원은 "무담보여신 익스포저가 큰 하나금융 외에는 손익 영향은 크지 않고, 은행들이 유가증권 매각 및 환평가 이익 등으로 손실을 상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신규지원이 없어 손실가능성이 확대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은행주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선 근원적 채무조정 및 유동성 자금지원방식'의 대우조선해양 구조조정안을 살펴보면 선제적 채무조정 후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50%씩 유동성 부족자금을 지원하고 은행권과 무보가 신규수준에 대해 RG를 지원한다는 내용이 채무조정 및 자금지원의 주된 내용이다.

다만 내달 17~18일로 예상되는 1.35조원에 달하는 회사채 사채권자 집회에서 채무조정안이 가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법정관리와 워크아웃의 중간형태로 국내에서 처음 시행되는 P-Plan을 통해 신속하게 구조조정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금융위원회에서 보도 해명 자료를 통해 밝힌 바에 따르면, 실사과정에서 문언상 법정관리가 계약 취소 사유에 해당하는 선박은 96척이다.

P-Plan이 아닌 통상의 법정관리 시 ① Charter 확보 유무, ② 대체건조가능성, ③RG 만료 여부, ④ 선주의 재무리스크, ⑤ 공정진행 단계 등을 감안하여 총 40척의 선박에 대해 실질적인 건조계약 취소 리스크가 있다고 추정했다.

다만 P-Plan의 경우 회생절차가 신속히 종료되고 원활한 신규 자금 지원으로 건조지연 가능성이 낮아 통상의 법정관리보다는 취소 선박 규모가 상당히 축소할 것으로 추정했고, 회사 측이 선주사와의 접촉을 통해 취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Plan에 들어갈 경우 손실은 90%에 달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금융당국이 추정한 바에 따르면 산업, 수출입은행을 제외한 시중은행의 추가 충당금 부담은 약 6,400억원이다. 이는 대략적으로 기존의 10~15% 수준의 충당금 적립률을 유지하는 가운데 출자전환분의 80~90%를 손실처리하는 수준에 해당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하나은행을 제외한 시중은행들의 무담보여신보유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KB금융의 경우에도 올 1분기 추가 충당금 부담은 1000억원 내외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시장은 추가 지원이 없다는 부분에 주목하고 있다. 은행들이 유가증권 매각을 통해 벌충할 수 있는 여력이 있고 하나금융의 경우에도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인해 비화폐성환산이익이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1Q17 및 2017년 실적 전망치 하락폭은 5%를 넘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다.

이 연구원은 "일단 정부안 발표 이후 시장의 반응을 보면 시중은행들이 신규자금지원을 하지 않는다는데 주목하는 것으로 보여, 손실가능 금액이 늘어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은행주에 부정적으로 접근할 요인은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