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신산업, 4차 산업혁명으로 활로 찾자]결국 해답은 산업 현장에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지난해 12월 열린 제4차 신산업 민관협의회 회의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2월 제4차 신산업 민관협의회에서 12대 신산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구조 고도화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협의회는 1년여 동안 업종별·기능별로 16개 분과를 운영하고 민간 위원을 대상으로 한 릴레이 심층 면담에서 신산업 육성 정책을 도출했다. 이 과정에서 1000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도 병행했다. 산업 현장의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는 통로를 만든 것이다. 4차 산업혁명 대응을 활용한 신성장 동력 창출도 결국 기업과 산업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이 여러 경로로 기업인을 만나는 것도 같은 선상이다. 주 장관은 “여러 간담회와 민관협의회에서 공개 의견 수렴 외에도 수시로 전화 통화하고 비공개적 소통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면서 “수출과 투자 확대는 물론 신산업 창출을 위한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해 기업인을 더 많이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 구조 고도화와 신산업 창출도 기업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은 이미 기업이 선두에 서고 차세대 기술 개발과 확산 과정에서 필요한 정부 지원 정책이 뒷받침하는 구조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 있다.

김갑수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실제로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기술보다 정부가 기획해서 내려주는 기술 개발 정책으로는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힘들다”면서 “민간이 자체 조직을 만들어 우리 산업계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발굴하고 정부가 이에 대해 뒷받침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연속 기획에서는 우리나라가 신산업으로 육성해야 할 전기차,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 가전,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로봇, 인공지능(AI), 반도체, 디스플레이, 에너지 신산업 등에 관한 정부 정책 현황을 짚어보고 실제 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다.

양종석 산업경제(세종) 전문기자 jsyang@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