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캐딜락 10개 모델 월 168만원 … GM도 자동차 공유 사업 나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년간 18번까지 바꿔 탈 수 있어

뉴욕서 시범운영, 전국 확대 계획

집은 물론 TV·정수기·장난감까지 빌리는 시대다. 부피 큰 내구재를 굳이 소유하지 않고 필요할 때만 빌려 쓰는 소비패턴. 물론 자동차도 예외는 아니다.

미국 최대의 자동차 회사인 제너럴모터스(GM)가 고객에게 월정액을 받고 차량을 빌려주는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고객이 선택할 수 있는 모델은 GM의 고급 브랜드인 캐딜락 10개 모델로 1년에 최대 18번까지 바꿀 수 있다. 이용료는 한 달에 1500달러(약 168만원)로 기간 동안 자기 차처럼 마음껏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평일 도심지로 출퇴근할 때는 CT6 등 세단을 이용하다가, 주말에 험준한 산악지대로 여행을 떠날 때는 에스컬레이드 등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이용할 수 있다. 차량 교체 신청은 스마트폰으로 하면 되며, 다음날 GM이 직접 고객의 희망지로 차량을 가져다준다.

WSJ은 “최근 소비자들은 자동차처럼 크고 비싼 제품을 소유하기보다는 넷플릭스 등 온라인 서비스처럼 매달 돈을 내고 가볍게 이용하길 희망한다”며 “GM도 이런 소비행태에 맞춰 실험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GM은 현재 이 서비스를 뉴욕에서 시범 운영 중이며, 앞으로 로스앤젤레스 등지로 확대할 계획이다. GM은 지난해 초부터 ‘메이븐’(Maven)이란 공유차 업체의 인큐베이터로 활동하며 이 사업을 준비해 왔고, 우버의 라이벌인 리프트(Lyft)에도 5억 달러를 투자했다.

미국 자동차 전문지 켈리블루북의 칼 브레이어 선임연구원은 “고객이 자동차를 보유함으로써 생기는 불편함을 덜고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이 서비스의 목표”라며 “현금흐름 등에서 기존의 카셰어링 회사보다는 자동차 제조업체가 가격이 더 저렴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독일의 BMW도 한때 이런 서비스를 준비했지만 자동차 물류 문제와 시장 성장성에 의문을 품고 포기한 바 있다. 기존에 공유차 업체들이 이용자 확대를 위해 중저가 차량을 주로 이용한 데 비해 GM은 자사의 고급 브랜드인 캐딜락을 전면에 배치한 점도 특징이다.

캐딜락 마케팅수석인 우베 엘링하우스는 “GM은 중산층 이상 고객의 소비패턴을 파악하는 한편, 아우디·BMW 등 경쟁사에 고객을 뺏기지 않기 위해 고급화 전략을 택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런 자동차 공유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기존의 자동차 판매가 줄어들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바클레이스캐피털의 브라이언 존슨 애널리스트는 “카셰어링 서비스 등의 확대로 앞으로 25년간 미국의 자동차 판매는 40%가량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유경 기자 neo3@joongang.co.kr

김유경 기자 kim.yukyoung@joins.com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