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부산진구 투표소 장애인 편의시설 부재 다수 '발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제20대 국회의원선거를 앞둔 지난해 2월 16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고현초등학교에서 수원시권선구선거관리위원회 직원들과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수원시지회 회원이 거동불편 선거인을 위한 투표소를 점검하고 있다. 2016.2.16/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ㆍ경남=뉴스1) 박기범 기자,박채오 기자 = 5월9일 조기대선이 확정된 가운데 선거관리위원회가 공개한 투표소의 장애인 이용시설이 현장과 크게 다르다는 지적이다.

부산참여연대는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실시한 부산진구지역 투표소 90개소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16년 총선에서 사용된 투표소를 대상으로 비상벨, 엘리베이터, 경사로, 점자블록, 장애인화장실 등 장애인 편의시설을 집중 점검했다.

참여연대에 따르면 장애인 투표의 주요 방해물은 2층 이상 투표소의 엘리베이터 부재와 경사로 미설치가 꼽힌다.

부산진구 90개의 투표소 가운데 투표소가 2층에 있으면서 엘리베이터가 없는 투표소는 양정 제1동 제2투표소(현대1차아파트 노인정 2층), 당감 제2동 제2투표소(태화현대 2차아파트 경로당 2층) 등 2개소였다.

경사로가 설치되지 않은 투표소도 30개소나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비상벨의 경우 8개소, 점자블록은 47개소만 각각 설치돼 있었다.

2층 투표소의 엘리베이터 부재나 경사로 미설치는 장애인들의 투표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들어 조기대선을 앞두고 조치가 시급한 실정이다.

장애인 화장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있더라도 창고 등으로 잘못 이용되는 사례가 다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조사에서 장애인 화장실은 전체 90개 투표소 가운데 중 39개소만 설치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39개소의 장애인 화장실의 경우도 평소에 물건을 비치는 창고로 사용되고 있는 곳도 다수 발견됐다.

공중화장실의 경우 투표일 외에도 많은 시민들이 사용할 수 있어 장애인 편의 증진을 위해서도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

부산참여연대 관계자는 "이번 현장조사를 통해 부산진구 선거관리위원회에서 공개한 투표소 장애인 이용시설이 현장과 크게 다른 점이 많은 것을 확인했다"며 "장애인 시설에 대한 수정조치와 함께 부산진구 선거관리위원회의 정확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부산시 선관위 관계자는 "선거에 앞서 지역 장애인단체와 함께 합동 점검을 매번 실시하고 있다"며 "임시 경사로 설치, 현장 도우미들의 장애인 지원 등 모든 분들이 정상적으로 투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선거 후 장애인 시설을 다시 한 번 점검해 지적된 사항을 개선하겠다"고 덧붙였다.
pkb@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