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KT, MWC 2017에서 글로벌 5G 리더 위상 굳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사진제공=K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T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박람회 ‘MWC(모바일월드콩그레스) 2017’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과 황창규 회장의 기조연설로 '글로벌 5G 리더'의 위상을 굳혔다. 지난달 27일 개막한 MWC 2017은 2일(이하 현지시간) 폐막한다.

황 회장은 개막식에서 ‘5G 너머 새로운 세상(New World Beyond 5G)’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을 통해 KT가 2019년 세계 최초로 5G 서비스를 상용화하겠다고 발표했다.

황 회장은 "5G는 빠른 속도, 끊김 없는 연결, 방대한 용량과 함께 '지능화'로 차별화된 네트워크"라며 “5G는 위치, 보안, 제어와 같은 솔루션과 빅데이터, 인공지능과 같은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결합된 지능형 네트워크로 세상을 바꾸는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회장의 MWC 기조연설은 지난 2015년 MWC 행사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로 당시 황 회장은 ‘5G, 미래를 앞당기다(5G & Beyond, Accelerating the Future)’를 주제로 5G가 만들어낼 미래상을 발표해 깊은 인상을 남긴 바 있다.

뿐만 아니라 KT는 이번 MWC2017에서 세계 최초로 ‘5G 네트워크 환경(5G End-to-End 네트워크)’을 공개하는 등 다양한 전시를 선보였다.

KT가 삼성전자와 공동 개발한 ‘5G 네트워크 환경’은 기지국, 중계기 등 네트워크 장비뿐 아니라 5G 기술이 새로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체 인프라를 관리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비까지 연동한 완전한 환경이다.

KT는 2018년 평창에서 펼쳐질 ‘5G 올림픽’을 5G 네트워크 기반에서 먼저 체험하는 기회로 다시점 스트리밍 서비스 ‘옴니뷰’와 다시점 영상 서비스 ‘타임 슬라이스’, 선수 시점의 영상 ‘싱크뷰’로 색다른 경기 중계를 체험하는 가 하면 동계 올림픽 종목 중 ‘스키점프’와 ‘루지’는 VR(가상현실)로 직접 체험할 수 있어 호평을 받았다. 특히 펠리페6세 스페인 국왕은 2014년에 이어 이번에도 KT 전시관을 찾아 ‘루지’ VR을 체험했다.

이 밖에도 KT 전시 부스에서는 신속한 재난 구조를 지원하는 ‘IoT(사물인터넷) 세이프티 재킷’, 스마트 헬스밴드 ‘네오핏’, 풀HD 고해상도 영상을 제공하는 CCTV 서비스인 ‘기가아이즈’, 로밍 데이터 기반 감영볌 확산 방지 솔루션 ‘스마트게이트’ 등을 선보였다.

KT는 이번 행사기간 동안 전시 외에 다양한 글로벌 행보를 펼쳤다.

황 회장이 참석한 GSMA&WEF(세계경제포럼) 라운드테이블에서는 지난 1월 열린 세계경제포럼의 후속 사항을 논의했다. 황 회장은 이 자리에서 KT ‘기가 아일랜드 프로젝트’와 ‘감염병 확산 방지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ICT가 전 인류의 지속가능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통신사의 로밍 데이터로 방문객들의 이동경로를 파악해 감염병 확산 방지에 활용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전세계 통신사, 각국 정부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황 회장은 아랍에미리트(UAE) 대표 통신사인 ‘du’의 대표 오스만 술탄(Osman Sultan)’과 미팅을 갖고 최근 통신 산업의 트렌드에 대한 논의를 하기도 했다.

이 밖에 KT와 함께 전시에 참여한 협력사들은 다양한 글로벌 기업 관계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KT는 전시에 참가한 협력사들이 글로벌 업체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회의 공간을 제공하는 등 실질적인 글로벌 판로 개척을 위해 도왔다. 그 결과 협력사 물품이 전시된 파트너스존에서 80여개 국내외 기업 관계자와의 비즈니스 미팅이 이뤄졌다.

한편 KT는 올해 22회째를 맞는 ‘MWC 글로벌 모바일 어워드(Global Mobile Awards, GLOMO)’에서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KT는 스마트에너지 관제 플랫폼 ‘KT-MEG(Micro Energy Grid)’으로 쟁쟁한 사업자들을 제치고 ‘스마트시티 부문 최고 모바일상’(Best Use of Mobile for Smart Cities)’을 수상했다.

KT-MEG은 경기도 과천에 센터를 둔 열과 전기 에너지의 생산·소비·거래를 통합 관제할 수 있는 세계 최초 개방형 복합 에너지 관리 플랫폼이다. KT-MEG은 스스로 진화하는 인공지능(AI) 엔진 ‘이브레인(eBrain)’을 탑재해 고객의 에너지 소비 패턴별로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며 현재 약 1만 6천여 사이트를 실시간 통합 관제하고 있다.

임지수 기자 ljs@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