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MWC 2017] 손정의 "IQ 1만의 슈퍼지능이 온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MWC 기조연설 "30년내 인공지능 시대 도래"

"인공지능이 최대 리스크이면서도 최선의 개선책"

[바르셀로나(스페인)=이데일리 김유성 기자] “아이큐가 200이면 천재라고 하죠? 아인슈타인이나 다빈치가 그들입니다. 그런데 아이큐 1만의 존재에 대해서는 뭐라고 불러야 할까요? 30년내에 그들이 옵니다. 바로 슈퍼지능입니다.”

27일(현지시간) 개막한 세계 최대 이동통신 박람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열린 컨퍼런스에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기조연설자로 등장했다. 손 회장은 ‘모바일, 그 다음’이라는 주제로 곧 다가올 인공지능의 시대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그는 인공지능이 우리 인류의 최대 ‘위험요소’중 하나지만,인류의 난관을 해결해줄 ‘파트너’라고 정의했다.

이데일리

손 회장은 먼저 자신이 반도체 칩 업체 ARM을 인수했던 이유를 언급하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손 회장은 지난해 반도체 칩 업체 ARM을 320억달러(약 36조원)에 인수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함께 1000억달러 규모 비전펀드도 조성했다. 비전펀드는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에 대한 투자를 한다.

손 회장은 “지금도 사람들은 나에게 왜 ARM을 샀냐고 묻지만, 나는 강한 확신이 있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운을 뗐다. 그가 말한 강한 확신은 인간보다 뛰어난 인공지능(AI), 슈퍼지능(Super Inteligence) 시대의 도래다.

그는 “수 천년 전이나 수 천년 후에나 인간 뇌의 뉴런 수는 변함이 없다”며 “인간 뇌의 발전은 2018년이 한계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나 “트랜지스터의 갯수는 무한하게 늘어날 것”이라며 “30년 뒤에는 칩 하나가 우리 뇌보다 더 똑똑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30년 뒤에 나오는 원칩 컴퓨터의 아이큐가 1만에 달할텐데 우리는 이것을 무엇이라고 부를까”라며 ‘슈퍼지능’이라고 정의했다.

손 회장은 “슈퍼지능의 등장은 인간의 삶을 드라마틱하게 바꿔놓을 것”이라며 “이 칩은 움직이는 모든 디바이스 안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쉽게 말해 각종 로봇과 사물인터넷(IoT) 기기에 슈퍼지능의 칩이 들어간다는 얘기다.

그는 “IoT에 들어가는 칩 수만 1조개가 될 것”이라며 “우리 신발 밑에도 슈퍼지능이 들어가게 되고 그것을 밟고 다니게 된다”고 말했다.

손 회장은 슈퍼지능 시대가 도래하면서 따를 부작용에 대한 걱정도 했다. 바로 해킹이다. 지금도 CCTV 등이나 자동차 시스템을 쉽게 해킹할 수 있다. 해마다 해킹 시도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손 회장은 “ARM은 두개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며 “하나는 보안, 하나는 연결성”이라고 했다. 그는 “해킹된 차가 마음대로 움직이고 컨트롤된다는 것은 매우 무서운 것”이라며 “이를 막기 위하 노력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손 회장은 “인공지능은 핵전쟁, 지진 등과 함께 인류의 최대 위협 12가지중 하나”라면서도 “그러나 인공지능은 다른 11개의 리스크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슈퍼지능은 우리의 파트너로 쓸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의 리스크로도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의 선택에 따라 인공지능의 역할이 결정된다는 얘기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