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한국정책 흔들림 없이 추진 경제체질 강화의 계기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형환 장관 다보스포럼 참석.. 최순실 게이트 불식에 집중


파이낸셜뉴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다보스포럼에서 '최순실 게이트'로 촉발된 한국 정치.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를 불식하는 데 외교역량을 집중했다. 다보스포럼은 매년 연초 열리는 세계경제포럼 연차총회의 별칭이며, 세계 정상급 인사들이 참석한다. 주 장관은 올해 사실상 정부 대표단을 이끌었다.

산업부는 주 장관이 지난 17일부터 19일까지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제47차 세계경제포럼 연차 총회에 참석, "최근 한국 상황과 관련해 정부 정책은 한 치의 흔들림이 없고 향후 제도의 선진화, 기업의 투명성 제고 등 경제체질이 강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20일 밝혔다.

주 장관은 한국에 대한 우려를 씻어내기 위해 지멘스, 솔베이 등 글로벌 최고경영자(CEO)들과 일대일 면담을 하고 미래기술 협력, 대한 투자확대 등 협력방안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케저 지멘스 회장과 한국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에 지멘스의 참여 확대, 핵심기술의 공동개발과 국제표준 제정을 위한 협력에 합의했다.

솔베이의 장피에르 클라마디외 솔베이 회장에게는 전기차, 항공부품 관련 첨단 신소재 분야에서 대한 투자 확대를 요청했다.

주 장관은 포럼 기간 자유무역, 4차 산업혁명 대응과 관련된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주 장관은 '제조의 미래, 지역 전략 모색' 세션에서 개발도상국이 성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메가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한 지역통합과 시장 확대를 주장했다.

이를 위해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회원국 간 시장통합을 개선하고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조기에 타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급속한 디지털화로 사이버테러가 늘고 있지만 국제공조가 약한 점을 지적하며 사이버공격 발생 시 복구를 지원하는 '사이버 평화유지군' 창설도 제안했다.

주 장관은 또 포럼의 핵심 협의체인 '제조의 미래 창립 이사회'에서 지정토론자로 나서 "현재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일부 산업에만 적용되는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전 산업, 특히 제조업 전반으로 확산해야 한다"며 한국의 규제완화, 인력.인프라 지원, 연구개발(R&D) 지원사례를 소개했다.

포럼은 현재 추진 중인 국가별 4차산업 대응역량 평가에서 한국을 사례연구 대상으로 포함하기로 했다. 포럼은 올해 한국을 방문해 4차 산업혁명과 제조업의 미래에 관한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다보스포럼은 정상급이 참여하는 행사로 2014년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참석했지만, 올해는 어지러운 정국 탓에 대통령 특사도 없이 주 장관이 사실상 대표단을 이끌었다.

반면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다보스 무대에 데뷔하고 마윈 알리바바 회장이 세션 패널로 참가해 지원사격에 나서면서 사실상 이번 포럼의 '주인공'으로 떠올랐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