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종열의 진짜타자] 황재균, 메이저리그 150km 직구를 잡아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50km의 빠른 직구, 당당한 메이저리가 되기 위한 황재균의 해결 과제이다.

KBO리그의 직구 평균 구속은 약 142km이다. 반면 메이저리그는 약149km. 투수가 던진 약 145km의 공이 포수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대략 0.4초 이내인데, 150km의 공이라면 더 짧은 시간 안에 해결해야 한다는 얘기이다. 현재 강정호(피츠버그 파이어리츠)가 메이저리그에서 살아남을 수 있던 가장 큰 이유는 빠른 공에 대한 대처능력이다. LA중앙일보에 따르면 강정호는 앞다리를 높게 드는 레그킥 시간을 절반으로 줄여 2015시즌 153km이상 속구 타율이 4할이었다.

매일경제

지난 4월 28일 수원 kt위즈파크에서 "2016 KBO리그" 롯데 자이언츠와 kt 위즈 경기가 벌어졌다. 1회초 1사 만루에서 롯데 황재균이 kt위즈 선발 엄상백을 상대로 만루홈런을 치고 진루하고 있다. 사진=MK스포츠 DB


최근 황재균의 메이저리그 도전 선언을 듣고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해 봤다. 관건은 역시 빠른 공 대처이다. KBO 공식 기록 업체인 스포츠투아이에서 제공한 자료를 보면 황재균은 지난해 빠른 공에 강한 모습을 보였다.

매일경제

2016 KBO리그 구속별 황재균의 타율(스포츠투아이 자료)


기본적으로 변화구 보다 빠른 공에 강점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빅리그 적응은 수월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문제는 150km 이상의 강한 직구를 어떻게 공략하느냐의 문제이다.

빠른 공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준비가 빨라야 한다고 생각한다. 준비라고 하면 단순하게 배트를 들고 있는 자세를 먼저 생각하지만 내가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적극적인 준비로 배트가 언제든지 출발할 수 있는 자세이다.

스윙 준비가 빠르면서 배트의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발바닥부터 시작해서 발목 무릎 관절의 순서대로 연결해 주는 키네틱 체인을 활용해야 강한 힘을 만들 수 있다. 이는 시작점인 하체의 타이밍을 잘 잡아야 한다. 황재균의 타격자세를 보면 스트라이드 동작에서 오른쪽 무릎을 투수 방향으로 살짝 넣어주면 자연스럽게 힘이 상체 쪽으로 연결된다.

밑에 사진에서 오른쪽 무릎의 차이를 분명히 확인 할 수 있다. 무릎이 투수 방향으로 움직이면 타이밍이 잘 맞으면서 배트를 쥐고 있는 일명 코킹자세 또한 유지되고, 배트 스피드와 파워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다.

매일경제

황재균의 최고 장점은 도전 정신이라고 생각한다. 쉽지 않은 결정을 하고 어렵게 진출을 결정한 만큼 메이저리그 투수들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타석에서 적극적인 대처가 중요할 것이다.

타석에서 빠른 준비자세로 0.4초의 시간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낸다면 위대한 도전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SBS스포츠 프로야구 해설위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