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한국은행 "내년 세계경제 최대 이슈는 미국 차기 행정부 경제정책 방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한국은행이 내년 세계 경제의 가장 큰 이슈로 도널드 트럼프 차기 미국 행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을 꼽았다.

한은은 28일 '2016/2017 글로벌 경제 10대 이슈'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조사는 지난달 16~30일 한은 내 국제업무 담당자와 외부 정책고객 등 20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설문조사 참가자들은 내년 세계 경제 10대 현안으로 미국 차기 행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을 우선적으로 꼽았다.

한은은 "트럼프 행정부에서는 거시·통상 정책에서 오바마 행정부와는 다른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며 "미국 우선주의에 기초해 경제분야는 재정부양 및 규제 완화, 통상·외교분야에서는 보호무역주의와 고립주의를 표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새 행정부의 재정부양 정책이 순조롭게 시행될 경우 향후 2~3년간 미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이 예상되나 보호무역·이민제한 등이 미국 및 글로벌 경제에 중장기적인 하방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응답자들은 △유럽연합(EU) 결속력 약화 이슈 향방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시기 및 속도 △글로벌 저성장 기조 탈피 및 인플레이션 회복 여부 △미국 통상정책 변화 가능성 등도 내년 세계 경제 현안으로 꼽았다.

중국의 3대 리스크 관리를 비롯해 △주요국 간 통화정책 비동조화 지속 여부 △글로벌 교역 향방 △원유가격 향방 △미·중·일 환율 갈등도 내년 10대 현안에 포함됐다.

이 중 EU 결속력 약화에 대해서는 내년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협상 등으로 EU 체제가 약화될 경우 반세계화 기조가 급격히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시기 및 속도에 대해서는 새 행정부의 정책방향과 효과 등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응답자들은 올해 세계 경제 최대 이슈로 브렉시트를 꼽았다.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이 뒤를 이었으며 글로벌 저성장 장기화, 주요국 중앙은행의 마이너스 금리 도입 등이 뒤를 이었다.

문지훈 jhmoon@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