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창업 생태계? '창조경제' 간판 보단 스타트업 혁신 지속이 중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제1차 포럼 개최… "스타트업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

머니투데이

1일 열린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의 제1차 포럼 '창업 환경 규제 장벽과 개선 현황' 세션을 진행 중인 최성진 인기협 사무국장과 안창용 미래창조과학부 창조융합기획과장, 이효진 8퍼센트 대표, 구태언 테크앤로 대표변호사, 황승익 한국NFC 대표. /사진=서진욱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혁신이 계속되기 위해선 정책 이름이 뭐든 규제 개선과 창업 환경을 조성하는 게 중요하다."

1일 오후 서울 논현동 파티오나인에서 열린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의 제1차 포럼에서 최순실 게이트로 창조경제 관련 스타트업 지원 정책이 축소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들이 쏟아졌다. 이날 주요 발언자들은 정책 명칭을 떠나서 스타트업 생태계를 지원하는 정책은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규학 소프트뱅크벤처스 대표는 "지금까지 스타트업에 주목한 4개 정부가 있었다"며 "정부마다 (스타트업을 지칭하는) 명칭이 달랐지만 결국 다 스타트업이었다"고 진단했다.

문 대표는 "스타트업이라는 큰 강이 생겼고 가끔 유람선이 돌아다니는데 이번에는 '창조경제'가 유람선이었다"며 "강은 쭉 흘러갈 수밖에 없다"는 의견을 밝혔다. 스타트업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으로 정부 정책과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창업 환경 규제 장벽과 개선 현황' 세션 사회자로 나선 최성진 인터넷기업협회 사무국장은 "최근 창조경제가 흔들리면서 스타트업 정책이 사장되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나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규제 혁신과 창업 환경 조성이 이뤄지면 명칭이 뭐든 (관련 정책이) 계속되지 않겠냐"고 덧붙였다.

패널로 참여한 안창용 미래창조과학부 창조융합기획과장은 "창조경제는 공과 과가 분명히 있다"며 "다만 최근 4~5년간 나타나는 (창업) 문화는 과거 1차 벤처와는 다른 환경으로 움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물론 근본적인 문제점에 대해선 계속 문제 제기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안 과장은 "어렵게 만든 생태계가 계속 이어지고 더 많은 사람들이 스타트업 영역으로 뛰어들 수 있어야 한다"며 "청년뿐 아니라 경험 있는 사람들도 창업할 수 있고, 누구나 한 번쯤 창업해야 하는 시대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떤 정부든 강조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며 "규제 혁신에 대한 솔루션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구태언 테크앤로 대표변호사는 "정부가 창조경제로 혁신하려면 먼저 스스로 준비해야 한다"며 "공무원 스스로 어떤 법률을 어떻게 바꾸고, 기득권자들의 반발을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솔루션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포럼은 지난 9월 발족한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의 첫 행사다. 포럼에는 100여개 스타트업이 참여했으며, 김봉진 우아한형제들 대표가 의장을 맡고 있다.

서진욱 기자 sjw@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