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대기업,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손떼면?..스타트업만 죽을 맛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센터 운영비는 국비와 지방비로..국비는 436.5억 확보

지방비는 여전히 논란

전담인력 파견과 펀드 투자한 대기업들 움츠러들어

아직 손뗀다는 대기업 없지만 스타트업들은 걱정

[이데일리 김현아 오희나 기자] 최순실 게이트로 대기업들이 한껏 움츠러든 가운데 전국 17개 시도의 18개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전담 대기업들이 내년에 혁신센터 운영에서 손을 떼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제기된다.

아직 정부에 혁신센터에서 발을 빼겠다고 한 기업은 없지만 자금과 인력을 지원하고도 혁신센터를 바라보는 여론이 따가워 슬그머니 발을 빼지 않을까 하는 우려다.

하지만 혁신센터에 입주해 있는 스타트업들은 혁신센터는 최순실이 농단한 k스포츠·미르 재단과 다르다며 스타트업(초기벤처) 생태계에 대한 지원은 지속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일 업계와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이날 예결위 소위에서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에 필요한 국비 예산 436.5억 원이 통과됐다. 미래부 목표액인 472억 원보다는 깎였지만 지난해 318억 원보다는 118억 원이상 늘었다.

하지만 정부 예산과 함께 혁신센터 운영비로 쓰이는 지자체 예산(지방비)은 들쑥날쑥한 상황이다. 일단 서울시가 국비 확보의 불안정성을 이유로 예산을 전액 삭감했고, 전남 시의회도 마찬가지다. 경기도 역시 반액이 줄어든 상황이다. 대구 등 일부 지자체에선 시가 제출한 금액(25억 원)대로 논의중이나 내년 혁신센터 살림은 팍팍해질 전망이다.

여기에 각 센터별로 전담해 지원하는 대기업들의 행보도 걱정이다. 대기업들은 센터 창립 초기 펀드 조성 등 자금과 전담인력 파견, 공동 공모전 등을 진행해 왔다. 대기업들이 발을 뺀다고 센터직원 월급이나 건물 임차료를 못주는 건 아니다. 센터 운영비는 정부 예산과 지방비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정부 예산은 주로 인건비로, 지방비는 건물 임차료로 쓴다.

하지만 혁신센터에 입주한 스타트업들에 대해 멘토링하거나 공모전을 통해 우수 스타트업을 선발하고 대기업 네트워크를 통해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돕는 일은 힘이 빠질 수 있다.

최성준 미래부 창조경제진흥과장은 “한진(인천)이나 현대중공업(울산)처럼 경영이 어려운 기업들도 센터 운영에서 손을 떼겠다는 이야기를 하지 않은 상황”이라면서 “정부 역시 대기업들이 혁신센터 운영에서 손을 뗄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은 언급하거나 검토된 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 예산이 확정되면 지자체와 시의회 등을 상대로 지방비 확보의 필요성을 더 많이 설득하겠다”면서 “저성장 시대에 대한민국의 창업 생태계를 죽일 수는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혁신센터가 흔들리면서 피해는 고스란히 스타트업이나 창업을 꿈꾸는 학생들에게 돌아가고 있다.

‘2016 창조경제 박람회’ 참가한 북일고등학교 1학년 박유영 학생은 “창조경제 혁신센터에 들어가기 위해 아이디어를 제출했고, 센터 지원을 받아 시제품을 만들고 있는데 최순실 사태로 차가운 시선을 받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그는 고교 창업동아리에서 ‘농촌1004’라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었고 ‘2016 창조경제타운 애플리케이션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박람회에 참가한 이승철 네오폰 대표는 “이전과는 달리 확실히 침체된 분위기가 있다. 이번 일(최순실 사태)로 예산지원이 중단된 기업들도 있다. 자금줄이 막힌 기업들은 사업을 포기하는 곳도 늘어날 것”이라고 토로했다.

네오폰은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와 인공지능 오디오 시스템을 구현한 귀걸이형 이어폰을 개발했다. 귀속 전체를 막아 다른 소리를 들을 수 없어 위험하고 오래 끼고 있기 불편했던 기존 이어폰과 달리 귀에 착용하는 오픈형 이어폰이다. 인공지능 전자비서 기능을 탑재해 전화가 오면 누구인지 알려주고 음성인식 기능도 탑재해 음성만으로 길 안내는 물론 전화도 걸수 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