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특허청 “스타트업 맞춤형 IP전략 내년부터 지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KCERN 22일 ‘창업과 IP전략’ 공개포럼서 밝혀



[헤럴드경제=조문술 기자] 특허청이 내년부터 스타트업 맞춤형 IP(지식재산권) 전략을 지원한다. 특히 ‘특허 바우처제도’를 정책에 반영하기로 했다.

KCERN(케이썬·이사장 이민화)은 22일 ‘창업과 IP전략’을 주제로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제31차 공개포럼을 열었다. 포럼에서는 창업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IP(지식재산권) 전략과 이를 뒷받침하는 수요자 중심의 특허 바우처제도가 제안됐다.

이민화 KCERN 이사장<사진 >은 “국가의 성장과 고용은 창업의 양이 아니라 질에 달려 있다. 이를 위해 IP 기반의 차별화된 역량이 필요하다”며 고품질 창업과 지식재산 생태계의 선순환을 위해 특허의 창출·보호·활용이란 3단계 IP전략을 제시했다.

헤럴드경제

또 수요자가 자신에게 맞는 특허 실행방안을 선택하는 특허 바우처제도를 전격 제안했다. 이 제도는 사전심사를 간소화하고, 징벌적 손해배상으로 운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제 발표 후 고정식 전 특허청 청장이 좌장돼 고영하 고벤처포럼 회장, 김길해 지재권산업협회 회장, 김태만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 국장, 신정욱 재원 대표, 한정화 전 중기청 청장이 패널로 토론에 참여했다.

고정식 전 청장은 “벤처기업들이 생존·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초기 단계부터 특허청이 지식재산전략원을 통해 제공하는 IP-R&D사업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길해 지재권산업협회 회장은 “스타트업은 근본적으로 기업경쟁력 측면에서 많은 한계가 있지만, 핵심특허 기반 스타트업은 기업 규모에 구속 없이 보호를 받는다. 따라서 투자나 M&A 때 더 매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태만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 국장은 “특허청은 내년부터 스타트업 맞춤형 IP전략을 지원할 예정”이라며 “이 자리에서 논의한 수요자 중심의 바우처제도를 적극 반영할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문술 기자/freiheit@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