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주열 총재 "韓 경제 주요리스크, 브렉시트·美금리인상·기업구조조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내년 성장률 전망치 2.8%…낙관적 아냐"

"삼성전자 갤노트 판매중단·현대차 파업 등 반영"
유일호 금리인하 룸 발언, "원론적 답변이었을 것"

【서울=뉴시스】정옥주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우리 경제 성장의 가장 큰 리스크로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미 금리인상 가능성, 기업구조조정 등을 꼽았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13일 서울 중구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2.7% 소비자 물가상승률 1.0%로 전망하며 이같이 말했다.

한은은 또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보다 0.1%p 낮춘 2.8%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기존 전망치와 동일한 1.9%로 전망했다.

이 총재는 "내년 한국경제가 안고 있는 대외리스크 요인으로는 브렉시트로 인한 불확실성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일부 취 신흥국의 금융경제상황 불안 가능성으로 볼 수 있다"며 "대내적으론 무엇보다 기업 구조조정에 따른 경제주체들의 심리가 위축될 가능성을 큰 리스크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또 올해와 내년 수정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판매 중단, 현대차 파업, 부정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영향 등을 충분히 고려한 결과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삼성전자가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크기 때문에 고려한 것은 사실이나, 삼성전자에서 적극 대응하고 있고 여타 제품으로의 이전 효과도 있을 것 감안한다면 수출 등 국내에 미칠 영향이 최소화하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부정청탁금지법도 단기적으론 일부 서비스업종 중심으로 영향을 분명 받겠지만 법 시행의 불확실성이 얼마나 빨리 해소하느냐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어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자동차 업계의 3개월간 파업으로 인한 생산 차질 규모는 14만대 수준, 전체 성장 규모의 3% 수준으로 파악된다"며 "앞으로 이 협의가 원만히 타결된다면 4분기 중 가동률 제고 등 통해 어느 정도 만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국경제가 담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가 많은 것은 사실이나, 하방 리스크 외에도 내년 경기를 촉진할 수 있는 상방리스크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내년에는 세계경제 회복세 이어가면서 교역량, 즉 수출여건이 올해보다 나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설비투자도 회복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러한 점들을 균형 있게 고려하면 내년 2.8% 성장이 낙관적이라고 생각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과 관련, 이 총재는 "내년 미국 금리정책에 대해서는 옐런 의장과 연준 위원들의 성향에 비춰볼 때 점진적으로 인상할 것으로 보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라며 "연내에는 한번의 금리인상을 기정사실화하는 발언이 나오고 있고, 장기 정책금리 전망을 평균적으로 봤을 때 내년에는 두번 인상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하는 것이 다수 연준위원들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근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과의 '금리인하 여력' 발언에 대해서는 이 총재는 "경제 상황에 대한 인식에 근본적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진 않고 소통에도 큰 애로가 없는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이어 "그동안 수차례의 금리인하로 기준금리가 실효하한에 더 가까워진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금리정책에서 대응 여력은 남아있다고 말한 바 있다"며 "다만 최근 지속되고 있는 가계부채의 높은 증가세, 미 금리인상 가능성 등에 따른 금융안정에 유의할 필요가 있어 금리정책 운용에 상당히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이 총재는 "유 부총리가 금리에 대해 발언한 것은 제로금리까지 간 주요 선진국에 비해 우리 기준금리 수준이 절대적으로 높은 수준이고, 단순히 비교해보면 우리가 상대적으로 정책여력이 있다는 의미의 원론적인 말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channa224@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