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철강협회 구조조정 컨설팅 결과 발표 “후판 생산량 감산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조민선 기자] 한국철강협회가 컨설팅 업체에 의뢰해 추진한 구조조정 방안으로 ”후판 생산량을 줄이고 강관은 한계기업을 재편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최종보고서를 발표했다.

철강협회는 28일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 의뢰해 추진한 컨설팅 연구용역이 완료돼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주요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 보고서의 내용은 30일 발표 예정인 정부의 철강 구조조정안에 반영될 예정이다. 다만 정부가 철강업의 경우 선제적인 자율적인 구조조정을 강조해온 만큼, 최종안에 구체적인 세부 해법이 담길지 여부에 초미의 관심이 쏠린다.

이날 공개된 최종보고서는 제품별 경쟁력을 진단하면서 운영 효율성 극대화, 고부가 제품 확대 방안 등을 제시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BCG는 “글로벌 철강수요는 2030년까지 연 1%대의 저성장이 예상된다”며 “중국이 생산능력을 축소한다고 해도 2020년에는 7억~12억t의 조강생산능력 과잉현상이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판재류, 후판, 봉형강, 강관 등 4개 제품군으로 분류해 경쟁력을 진단했다. 공급과잉이 심각한 품목으로는 후판과 강관이 꼽혔다.

후판은 두꺼운 철판으로 선박이나 건설용 철강재 등에 주로 쓰인다. 한때 조선업 발전에 힘입어 호황을 누렸지만 수요 감소와 값싼 중국산의 공세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내에는 포스코가 4곳, 현대제철이 2곳, 동국제강이 1곳의 후판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공장의 후판 생산능력은 모두 1200만t으로 추산된다. 이를 줄여야 한다는 답은 냈지만, 얼마나 어떤 방식으로 생산을 감축할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강관(파이프 등)은 다수의 사업자가 난립해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기업활력법 등 제도적 지원을 통해 한계

기업을 자연적으로 재편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냉연강판, 도금강판 등 판재류는 원가와 품질경쟁력이 세계 최고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미래소재 개발과 수출기반 확대를 통해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고서는 철근과 같은 원통형 철강제품인 봉형강에 대해서는 최근 건설 특수로 수익성이 개선됐지만 펀더멘털은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수익성 개선과 철강재 안전 규격 강화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앞으로 업계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밸류 체인을 디지털화해 운영 효율성을 강화해야 한다”며 “신소재 개발을 확대해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의 사업재편이 이뤄져야한다”고 밝혔다.

철강협회는 “업계가 자율적으로 비용을 분담해 추진한 이번 컨설팅은 객관적 시각에서 철강산업을 분석하고 경쟁력 개선을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를 진단하는 기회였다”며 “향후 철강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다양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bonjod@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