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울산·경남 실업자수 40% 이상 늘었다…구조조정 영향 본격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종=뉴시스】안호균 기자 = 부실 기업·업종 구조조정이 경남과 울산 등 지역 고용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직 기업 구조조정이 전체 지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지만, 울산·경남 등 조선업 구조조정의 영향권에 든 지역에서는 실업자가 급증하는 등 고용 여건이 악화되고 있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경남의 실업자 수는 6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9000명(41.9%)나 늘었다.

또 울산 지역의 실업자 수는 2만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000명(42.2%) 증가했다.

두 지역의 실업률도 급등했다. 울산(2.7→3.9%)과 경남(2.6→3.6%)의 실업률은 모두 지난해보다 1.0%포인트 이상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 실업률(3.7→3.5%)이 소폭 하락한 것과는 대비된다.

제조업 시설이 밀집돼 있어 다른 지역보다 고용 지표가 양호했던 두 지역의 실업률은 전국 평균을 넘어섰다.

조선업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 수는 4년여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수는 446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만5000명(1.4%) 감소했다. 제조업 취업자 수가 감소한 것은 지난 2012년 6월(-5만1000명) 이후 49개월 만이다.

취업자 수 감소세 역시 경남·울산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울산에서 1만3000명, 경남에서 3만9000명의 제조업 취업자가 감소해 전체(6만5000명)의 80%를 차지했다.

경남과 울산에서는 고용의 질도 점차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의 경우 전체 취업자 수는 6000명 늘었지만 자영업자 등 비임금근로자가 5만2000명 증가하고 임금 근로자는 4만7000명 감소했다.

또 임금 근로자 중 임시·일용 근로자는 8000명 증가한 반면 상용근로자는 5만5000명이나 감소했다.

울산의 경우 취업자 수가 2000명 줄었다. 비임금근로자가 6000명 늘어난 반면 임금 근로자는 8000명 감소했다.

울산 역시 임시·일용 근로자가 1만5000명 늘어날 때 상용 근로자가 2만3000명 감소하는 등 고용의 질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보면 지난달 고용 지표는 구조조정의 영향을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고용률은 61.2%로 0.1%포인트 상승하고 실업률은 3.5%로 0.2%포인트 하락하는 등 소폭의 개선세를 나타냈다. 청년 실업률도 9.2%로 0.2%포인트 하락했다.

하지만 정부는 구조조정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전국으로 확대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등 정책효과 약화로 내수회복이 둔화될 우려가 있다"며 "구조조정에 따른 제조업 부진 심화가 고용 증가세를 제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추경 등 재정보강 대책을 신속히 추진하고 소비·투자 등 부문별 활력 제고 노력을 강화해 경기·고용 하방리스크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ahk@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