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부채 많고 이해 복잡한 기업구조조정, 법정관리가 효율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융연구원, "워크아웃도 제3자 주관이 더 낫다"

뉴스1

23일 경남 거제 대우조선소에서 선박건조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국내 조선 업계는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지속된 업황 악화로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2016.5.23/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전보규 기자 = 부채가 많고 이해관계가 복잡한 기업의 구조조정은 법정관리가 효율적이란 지적이 나왔다. 기업 재무구조개선작업(워크아웃)도 주채권은행보다 제3자가 맡는 것이 낫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김동환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31일 기업 부실의 책임과 구조조정의 원칙 보고서를 통해 "누적된 부채 등으로 유동성 위기에 처한 기업 중 청산가치가 존속가치보다 높은 기업을 은행이 계속 떠안고 있을 필요가 없다"며 "부채규모가 크고 채권·채무관계가 복잡한 데다 파산 가능성이 높은 기업은 조속히 법정관리로 이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수의 이해관계자 간 이해 상충 문제를 공정하고 실효성 있게 처리하기 위해서도 법정관리가 기업 재무구조개선작업(워크아웃)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워크아웃도 회사채투자자 등 채권자 구성이 복잡해 채무조정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는 주채권은행보다 제3의 중립적인 전문가그룹이 주도하도록 하는 게 효율적이라고 밝혔다.

일본에서는 변호사와 공인회계사, 세무사, 금융·경영 컨설턴트 등으로 구성된 사업재생실무가협회에서 이런 역할을 하고 있다. 여기에는 펀드운영자와 기업·금융회사 임원, 판사, 관료, 연구자 등도 참여한다.

강제적 기업구조조정은 고의나 과실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로 한정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원샷법을 적용하는 등 자발적 사업재편을 위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은행과 정부도 일시적 착오로 판단 오류를 범한 경우에는 기업부실에 대한 책임을 덜어 주거나 면책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업에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것은 기업구조조정으로 발생하는 고용 감소 등을 해소하는 데 한정해야 하고 정부는 공적자금 조달·회수에 관한 중장기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제안했다.

기업 부실을 막기 위해서는 출자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위원은 "출자구조가 복잡하고 소유·지배 괴리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회계 투명성이 낮아지고 은행 차입 등 외부부채 조달과 부당 내부거래 유인·빈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며 "낮은 회계 투명성과 높은 외부부채 조달, 부당 내부거래는 기업부실의 실마리가 될 뿐 아니라 은행과 정부의 판단에도 체계적 오류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고 말했다.

특히 부당 내부거래는 특정 계열기업을 지원하거나 기업의 이윤을 빼돌리는 수단으로 이용돼 지원하는 기업이나 빼돌림을 당하는 기업을 부실화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jbk8801@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