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6 (토)

[구조조정 추진계획]정부·한은 손 잡았지만…여전한 논란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의 수은 '직접 출자' 가능성 사라지지 않아

한은 "출자 없다"고 하지만…정부는 출자 무게

특정 분야 지원 위한 발권력 남용 논란도 여전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산 넘어 산이다. 정부와 한국은행이 구조조정 실탄 마련에 일단 손을 맞잡았지만, 논란이 모두 해소된 것은 아니다.

당장 수출입은행에 대한 한은의 직접 출자를 두고 기관간 이견이 나온다. 국책은행 자본확충 방안에 ‘한은의 수은 출자’ 문구가 들어갔는데,이에 대한 정부와 한은의 생각에 온도차가 있는 것이다. 특히 한은 측은 “수은 출자는 없을 것”이라면서 “있어서도 안 된다”고 하고 있다.

한은의 발권력이 인위적으로 동원된다는 비판도 여전하다. 돈을 찍어내는 권한을 가진 한은이 특정 부분을 지원하는 건 형평성 측면에서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한은 “출자 없다”고 하지만…정부는 출자 무게

정부가 8일 발표한 국책은행 자본확충 방안을 보면, “시장 불안이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경우 정부와 한은은 수은 출자를 포함해 금융안정을 위한 다양한 정책수단을 강구한다”고 명시돼있다.

수은 출자는 그간 구조조정 이슈의 핵심 중 하나였다. 정부, 특히 금융위원회는 은행에 대한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보통주 자기자본비율 규제 때문에 한은의 직접 출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정부 입장에서는 무엇보다 국회를 거쳐야 하는 정부의 현금출자(예산 편성)보다 부담이 작다. 구조조정의 공이 국회로 넘어가면, 정부의 책임론이 비등해지는데 더해 골든타임을 놓칠 가능성도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한은이 이미 수은의 2대 주주라는 점을 들어 이를 앞장서 주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한은은 결사적으로 반대하고 있다. 한은 입장에서 돈을 돌려받을 수 있는 대출과 달리 출자는 사실상 떼이는 돈이어서다. 이주열 총재는 직접 출자만큼은 반드시 막겠다는 의지가 큰 것으로 전해졌다. ‘손실 최소화’ 원칙에 비춰볼 때 중앙은행의 자존심이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직접 출자의 전제인 ‘금융시스템 리스크 전이’ 상황을 어느 기관이 판단할 지도 명시되지 않았다. 한은 측은 “(정부가 아니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판단하는 것”이라고 하지만, 정부는 뚜렷한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번 발표를 통해 한은의 출자 가능성은 사라지지 않았다는 관측이 나온다. 기관간 갈등이 아직 봉합되지 않은 것이다. 만에 하나 추후 구조조정의 파장이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에 걸쳐 커질 경우 의견대립은 언제든 불거질 수 있다.

◇특정 분야 지원 위한 발권력 남용 논란도 여전

발권력 동원 논란도 적지 않다. 한은이 대출이든 출자든 형식을 떠나 어쨌든 인위적으로 특정 분야(기업 구조조정)를 지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 경로는 이렇다. 한은 측은 “통화량 총량은 변화가 없다. 필요 부분에 자금이 가면 다른 부분에서 흡수한다”(김봉기 한은 금융기획팀장)고 설명한다. 한은은 공개시장운영을 통해 유동성을 조절한다.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렸다 싶으면 통안채 등을 매각해 유동성을 흡수한다. 반대의 경우에는 통안채 등을 매입한다. 그 과정에서 시중의 그 어딘가 있던 돈이 기업 구조조정 분야로 옮겨가는 것이다.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1980년대 개발연도에 한은에서 무조건 발권해 부실기업의 손실을 메우는 역할을 했는데 그런 악몽이 다시 살아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한은은 세금 소요와도 같은 발권력 동원은 사회적 공감대가 전제돼야 한다는 뜻을 피력해왔다. 그런 점에서 한은도 발권력 남용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됐다. 지원 받아야 할 ‘사회적 약자’라는 인식과는 거리가 먼 부실 대기업들이 혜택을 받는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금융권 한 인사는 “앞으로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어떤 위기가 닥칠지 모르는데, 손쉽게 발권력에 의존하는 행태가 자리잡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통안채 발행에 따른 이자비용 지적도 나온다. 현재 통안채 금리는 1.4% 내외다. 한은의 대출 한도인 10조원에 단순 적용해보면, 연 1400억원 정도를 통안채 투자자에 줘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는 결국 국민 부담으로 돌아간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