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9 (화)

6월 조선업 구조조정 바람 거세진다..잔업 줄이고 인력 감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대중공업 잔업 줄여 임금 50% 감축

대우조선·삼성중공업도 강도 높은 자구안 보완책 나올듯

STX조선 법정관리 신청 후 채권단 중소조선사에 메스

이데일리

[이데일리 최선 기자] 대형 조선업체 3개사의 구조조정이 6월부터 본격 시작된다. 고강도 자구계획, 사업부 분할과 합병 등을 포함한 조선업계 전반에 대한 구조조정안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29일 업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현대중공업(009540), 대우조선해양(042660), 삼성중공업(010140) 등 조선 ‘빅3’의 채권은행들은 이번 주부터 회사들의 자구안 검토 등을 마무리하고 계획을 수립하는 작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우선 현대중공업은 자체적으로 잔업 줄이기에 들어갔다. 수주절벽에 직면한 상황에서 휴일·주말 근무와 연장근무를 중단해 비용을 절감하겠다는 취지다.

휴일근무는 현재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고, 오후 6시부터 진행하던 연장근무도 필요에 따라서만 진행하고 있다. 특히 오후 5시부터 필수적으로 이뤄지던 고정연장근무는 7월부터 폐지한다. 회사 입장에서는 정규직 28년차 근로자 기준으로 한달 4차례 휴일근무시 1명당 지급하던 55만2000원을 줄일 수 있다.

휴일근무와 고정 연장근로 수당 등이 폐지되면 현대중공업 정규직과 협력업체 근로자 임금이 각각 20%, 50% 정도 줄어들 것으로 추산된다.

물량 단위로 현대중공업과 계약하던 하청업체에 고용돼 있던 인원 수천명은 고용불안에 시달리고 있다. 현대중공업이 자체적인 잔업을 줄여가는 상황에서 협력업체와 계약 규모도 기존보다 축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장에서는 1만1000명에 달하는 현대중공업 협력업체 고용인구가 4000명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일감이 줄어들고 있어 들어가는 인건비용을 최소화하자는 취지에서 고정연장근무 폐지를 검토 중”이라며 “휴일근무나 연장근무는 완전폐지할 경우 납기일 준수에 어려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탄력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밖의 대책으로 현대중공업은 KEB하나은행 측에 3000여명의 인력을 감축하고, 비핵심부문인 건설장비, 전기전자시스템, 그린에너지 등 일부 사업부를 분사하는 내용을 포함한 자구안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해양도 이달 말로 예정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에 따라 자구안을 보강할 계획이다. 스트레스 테스트는 위기상황을 가정해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평가하는 절차다. 이 결과에 따라 퇴출, 부문별 퇴출, 기업회생이 결정된다. 그동안 지원받은 자금이 제대로 쓰였는지도 검토 대상이다.

대우조선은 방위사업부문의 자회사 전환에 이은 상장 등을 자구안으로 제출했다. 하지만 4조2000억원에 달하는 유동성을 지원받았다는 이유로 기존에 내놓은 대책보다 강도 높은 자구안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17일 도크 폐쇄, 거제삼성호텔 매각 등 자산매각을 통한 유동성 확보 방안과 500여명 이상의 인력 감축 방안을 포함한 자구안을 산업은행에 제출했다. 하지만 수주 제로(0) 벽에 부딪힌 삼성중공업이 장기적으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할 수 있어 대주주의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지난 27일 STX조선해양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데 이어 채권단은 성동조선해양, SPP조선, 대선조선 등 중소형 조선사에 대한 처리방안을 6월 중에 수립하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대형, 중·소형 조선업체를 불문하고 조선업계 전반에 구조조정 바람이 거세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한편 재벌닷컴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 1조원 이상 9대 조선사들의 연결 기준 부채총액은 역대 최대치인 102조6242억원으로 집계됐다. 구조조정의 골든타임을 놓치면서 감당해야 할 부실 규모도 커졌다는 평가다.

현대중공업은 34조2339억원, 대우조선은 18조6193억원, 삼성중공업은 13조358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대우조선은 2011년 이후 4년간 부채가 6조4617억원 늘어나 부채증가폭(53.1%)이 가장 큰 조선업체로 나타났다.

이데일리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