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9 (화)

현대상선 용선료 협상 데드라인 임박.. 법정관리 위기감 고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해외 선주사와 협상 난관.. 채권단 더이상 카드 없어
벌크선사와 접촉도 취소.. 정부가 정한 시일은 20일
채권단 4일 더 기다릴 듯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상선 용선료 협상시한(데드라인)이 다가오고 있지만 협상이 진척되기는커녕 되레 악화되는 조짐이 나타나 현대상선이 결국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로 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18일 해외 선주들과의 직접 대면 협상이 사실상 결렬된 데 이어 19일에는 예정됐던 벌크선사 위주의 콘퍼런스콜마저 취소됐다.

이 가운데 용선료 협상 데드라인에 대한 해석까지 엇갈리면서 상황을 더욱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당초 알려진 데드라인은 20일이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한 가닥 타결의 희망을 놓지 않기 위해 며칠 말미를 준 듯하다. 그날은 24일로 보인다.

■법정관리 가능성 커져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현대상선의 법정관리 등 최악의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있다. 18일 열린 해외 선주들과의 협상이 긍정적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금융당국 핵심관계자는 이날 "상황이 우호적이지 않다"며 용선료 협상을 포함한 전반적인 상황이 어렵다는 점을 강력 시사했다. 이미 금융당국과 산업은행 내에서는 주요 컨테이너선사들과의 협상을 마친 후 부정적인 기류가 강하다. 5개 선사 중 1개 선사는 회의에 참석하지도 않았으며 예정됐던 협상시간 2시간을 훌쩍 넘긴 것도 부정적인 전망에 무게를 실었다. 산업은행 역시 협상을 마친 직후 보도자료를 통해 "선주사들과 용선료 협상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만 추가적인 논의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채권단으로서는 더 이상 카드가 없기 때문에 이제 선택은 그들이 해야 한다는 입장인 셈이다.

게다가 19일 현대상선과 채권단은 벌크선사 위주의 선주들과 진행하려던 화상회의 형식의 콘퍼런스콜도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단 관계자는 "콘퍼런스콜은 계획에 없다"고 말했다. 전체 용선료 협상의 키를 쥔 컨테이너선사들과의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나머지 선사들과의 논의도 의미가 없어졌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현대상선은 용선료 협상의 문턱을 넘어도 사채권자 채무조정 등 난관이 남았는데 첫 관문부터 통과하지 않으면 법정관리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협상시한 24일(?)

용선료 협상에 대한 부정적인 기류가 강해지면서 현대상선에 대한 최종 입장을 정리할 이른바 데드라인에 대한 관심도 크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유력한 데드라인은 20일이었다. 20일까지 용선료 협상이 결론 나지 않으면 정부는 법정관리 신청을 포함한 비상계획을 실행할 것으로 관측됐다. 실제로 금융당국에서도 그런 말이 흘러나왔다. 최근 금융당국 고위관계자는 데드라인과 관련해 "해외 선주들은 현대상선 용선료 인하에 대한 예스(Yes), 노(No)를 20일까지 밝혀야 한다"며 "그걸 밝히고 난 후 내부작업이 필요해 서류제출을 늦추는 것은 가능하지만…"이라며 20일이 데드라인임을 확인했다. 또 조건부 자율협약 종료시한이나 채권자 집회 등을 감안했을 때 20일쯤이 가장 적합한 데드라인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하지만 협상이 난항에 빠지면서 채권단 및 금융당국의 입장도 다소 달라진 듯하다. 19일 또 다른 금융당국 고위관계자는 "24일 협약채권 채무조정 의결 전까지 모든 게 마무리돼야 한다"며 24일이 최종시한임을 시사했다.

한편 데드라인에 대한 입장이 계속 바뀌면서 채권단 및 금융당국이 스스로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대상선 용선료 협상 데드라인은 당초 5월 초순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은 5월 초순에 결론이 나야 사채권자 등을 설득해 채무조정을 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산업은행은 데드라인을 5월 중순으로 늦췄다. 당시 산업은행 고위관계자는 "5월 초순이 기본입장인데 서류작업 등으로 시간을 좀 더 줄 수 있다"며 "그래도 5월 중순에는 결론이 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외 선주들이 국내를 방문해 산업은행, 현대상선과 협상을 하면서 데드라인이 다시 20일로 연기되기도 했다.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