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6 (토)

[올댓차이나] "中 국유기업 절반 이상 구조조정"…합병·민영화·청산 전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편집자 주]= 올댓차이나는 중국 직접투자 시대를 맞아 후강통 100대 기업을 포함해 유력 중국 기업 및 신산업, 중국 관련 콘텐츠를 집중 발굴하는 코너입니다.

"中 회사채 실제 신용구분 4단계 그쳐…글로벌 신용평가사 19~21단계"
"부실기업 구제 기준 명확하지 않아…돌발적 기업 채무불이행 땐 시장 민감 반응"

【서울=뉴시스】 이진영 기자 = 중국 정부가 향후 중공업 위주로 국유기업 절반 이상을 구조조정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또 중국 국유기업의 등급 하향 조정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1일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중국 회사채 신용위험 증대 배경 및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국영기업의 연이은 위안화 채무상환 지연으로 역내 회사채 신용위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 中 회사채 금리 상승세 강화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소유 중국철로물자가 오는 17일 채권 만기도래를 앞두고 공사채(168억 위안·약 3조원) 거래정지를 요청하면서 기업신용 전반에 대한 경계감이 고조되고 있다.

또 투자등급(AAA, 역내 신용평가 기준) 회사채 금리는 지난 1월 13일 저점(3.63%)을 기록한 이후 지속 상승해 지난 4월 중에만 30베이시스포인트(bp, 1bp=0.01%포인트) 올랐다.

회사채 금리상승에 따른 차입비용 증가로 역내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연기 및 취소도 급증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달 13~19일 간 총 27건이 발생했다.

특히 올 1분기 이후 중국 기업에 대한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의 등급하향 추세가 가속화돼 눈길을 끌었다. 중국 기업 신용등급은 지난해 초 민간기업 부실로 하향조정이 늘어났으며 그해 4분기 이후 국영기업으로 확산되면서 강등 비율이 더 확대됐다.

◇ 中 회사채 경보음 왜?…장치산업 건전성 악화·신뢰도 낮은 신용평가 시스템

이러한 회사채 신용위험 증가는 먼저 기업 실적 악화가 바탕이 됐다. 과잉설비 문제가 심각한 중후장대(重厚長大) 산업의 펀더멘털 취약성 우려도 악영향을 미쳤다.

또 기업 건전성에 대한 적절한 신용평가가 이뤄지지 못한 상황에서 정부보증에 의존한 도덕적 해이 등이 비효율적 신용 할당을 초래했다. 성신(Chengxin), 연합(Lianhe), 다공(Dagong) 등 중국 3대 신용평가사들이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신규 부여한 신용등급 가운데 전체의 94.6%가 AA- 등급 이상이다.

국제금융센터 한종석 연구원은 "중국 신용등급 평가는 편중됐다"며 "위안화 회사채 신용평가 구분은 실제로는 4단계(AAA~AA-)로 이뤄지는데 이는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들의 19~21단계 대비 크게 부족한 수준이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정부의 구조개혁, 기업개편 계획에 따라 청산 가능성이 큰 산업군 국유기업을 중심으로 변제능력에 대한 불안감 커졌다고 국제금융센터는 전했다.

옥스퍼드 애널리티카는 "중공업 위주 기업 개편을 통해 향후 50% 이상의 국유기업이 합병 및 청산을 경험하거나 민영화될 것"라고 내다봤다.

정부의 산업별 지원 정도는 은행, 유틸리티 업종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부동산개발업 및 건설, 제조업은 낮게 형성돼 있다고 무디스는 전했다.

◇ 국유기업 신용등급 하향 조정 줄줄이 예상

국제금융센터는 국유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 기대가 약화하면서 정책적 중요성이 낮은 기업들을 중심으로 정량적 건전성 평가 및 등급 하향 조정을 예상했다. 정부 지원에 근거한 기존의 등급 평가 요인이 제거되면서 국유기업 신용등급 하향 조정이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무디스에 따르면 투자등급(Baa3 이상) 이상 현 중국 국유기업 가운데 약 35%는 정부지원을 배제하고 독자적 건전성 평가 시 투기등급으로 분류된다.

한 연구원은 "중국 경기 회복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신용위험 하락 등에 따른 회사채 금리 상승은 부실기업의 신용경색 및 채무불이행 증대로 이어질 소지가 있다"며 "이는 자원배분의 효율성 개선 측면에서 긍정적이나 기업부도 증가는 성장률 제고를 위한 정부 부담을 가중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부실기업 구제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제시돼 있지 않아 돌발적 기업 채무불이행 시 금융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mint@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